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창덕궁 대보단(大報壇)의 공간구성과 단제(壇制) 특성에 관한 고찰Studies on the Spacial Composi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ter System at Daebodan in the Changdeok Palace

Other Titles
Studies on the Spacial Composi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ter System at Daebodan in the Changdeok Palace
Authors
정우진심우경
Issue Date
2013
Keywords
창덕궁; 후원; 대보단; 동궐도; 제단; Changdeok Palace; Rear Garden; Daebodan(大報壇: the Alter for Great Recompense); Donggwoldo; Altar
Citation
문화재, v.46, no.1, pp.318 - 345
Indexed
KCI
Journal Title
문화재
Volume
46
Number
1
Start Page
318
End Page
345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05666
ISSN
1226-0800
Abstract
본 연구는 고문헌 및 도상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조선 후기 정치사에 큰 비중을 점유하고 있는 창덕궁대보단의 시대별 공간구성을 조명하고 단제(壇制) 형성에 이입된 요소를 고찰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보단에는 병자호란 이후 지배질서의 위기를 느낀 조선의 지배층이 타개책으로 내세운 존명의리의 이념적장치가 녹아들어 있으며, 조선중화의식의 자부심과 역대 임금에게 내재된 제천의 욕구가 맞물려 있는 등복합적 요인이 한데 얽혀 조적(組積)되어 있었다. 표면적으로 대보단은 사직단의 구성요소와 부속건물의배치를 그대로 가져오되 지형의 제약과 후원의 출입 제한으로 인해 변통한 배치를 보이고 있었으나, 입면적 구조에서 9급의 계단, 5척의 단고(壇高), 단유(壇棒)에 나타난 2성(成)의 정황 그리고 황장방 내부의형태 등 황명제의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수용되었다. 또한『예기·교특생』에서 따왔다는 단명(壇名)은 다분히 교천(郊天)을 상징하고 있었으며, 중국과 조선의 사직단의 제도를 적절히 조합하여 참례(僭禮)의 혐의를 피하여 건립되었다. 이러한 점은 대보단의 단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특징으로서 중화계승의식과 역대 임금에게 내재된 제천의 욕구가 제단의 구조와 형식을 통해 표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보단의 창건, 확장, 쇠퇴, 훼철의 과정을 편년적 방법으로 살펴보았는데, 각 변천의기점에서 당대의 정치·문화적 배경에 따른 조선 통치엘리트 집단의 지배이데올로기가 제단의 공간형식에 투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도상자료에 나타난 대보단에 조응되는 위치를 찾아 현장조사를실시한 결과 창덕궁 천연기념물 다래나무 주변에서 대보단의 석재, 전돌과 와편 등의 유구가 발견되어향후 발굴조사를 통한 확인이 요구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