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산지묘지의 훼손지 복원을 위한 수목장지로의 전환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우재욱-
dc.contributor.author변우혁-
dc.contributor.author김학범-
dc.contributor.author박원경-
dc.contributor.author김민수-
dc.contributor.author노슈하다-
dc.date.accessioned2021-09-07T01:47:27Z-
dc.date.available2021-09-07T01:47:27Z-
dc.date.created2021-06-17-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issn1225-1755-
dc.identifier.uri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0990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묘지로 인한 국토잠식과 환경훼손이 심각한 상황에서 산지묘지에 수목을 식재하여 수목장지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한 제반 사항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묘지 훼손지 면적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도권 9개 지역 205기의 묘지를 답사하여 묘지의 평균 가로, 세로 길이와 인접수목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묘지 관리를 위해, 수목을 제거한 면적을 포함한 전국의 묘지 훼손지 면적이 약 862km2에 달해 묘지로 인한 국토 훼손 문제가 심각함을 확인하였다. 수목장지 조성방법은 국민수요 요인을 묘지 공간의 특수성에서 어떻게 충족시킬 것인가를 관점으로 고찰하여 전환 정도, 조성 기간에 따른 조성기법을 제시하고, 인접수목 분포에 따라 묘지 유형을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인접 수목이 있는 면은 내음성 산림수종을 식재하고, 인접수목이 없는 면은 경관성 위주의 수종을 식재하는 기준을 적용하여 수목의 안정적 생장과 추모지 경관을 조화하는 식재기법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조성방법을 적용하여 용인과 보령에 2개소의 시범지를 조성하였다. 개활지에 위치한 용인 수목장지는 경관성 위주로 수종을 식재하였고, 숲 내부에 있는 보령 수목장지는 내음성 산림수종을 식재하여 용인 수목장지는 정원과 같은 이미지를 보이고, 보령 수목장지는 숲과 조화된 수목군의 이미지를 보여 인접수목의 분포에 따른 식재기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시범지에 대한 모니터링에서는 용인 수목장지에서 목재칩 멀칭에 의해 잡초류가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모습을 보여, 접근이 용이하고 면적이 작은 묘지는 멀칭을 통해 효과적으로 잡초 관리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재된 11개 초종의 생장과정을 통해 키가 낮고 토양피복도가 높은 종이 수목장지의 지표경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령 수목장지에서는 성목 식재한 산벚나무가 모두 고사하고, 지피식생으로 식재한 맥문동의 분얼도 활발하지 못하여 접근이 어렵고, 면적이 넓은 산지묘지는 성목식재보다는 유묘식재를 하고, 잔디를 존치하고 수관이 확장한 후에 내음성 지피식생을 조성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dc.languageKorean-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조경학회-
dc.title산지묘지의 훼손지 복원을 위한 수목장지로의 전환-
dc.title.alternativeConverting Lands that are damaged by Graveyards into Tree Burial Sites in order to Restore Green Areas-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변우혁-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조경학회지, v.40, no.3, pp.69 - 80-
dc.relation.isPartOf한국조경학회지-
dc.citation.title한국조경학회지-
dc.citation.volume40-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69-
dc.citation.endPage80-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1680098-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Tree Burial-
dc.subject.keywordAuthorNatural Burial-
dc.subject.keywordAuthorGrave-
dc.subject.keywordAuthorEcosystem Restoration-
dc.subject.keywordAuthorWoodland Restoration-
dc.subject.keywordAuthorTree Burial-
dc.subject.keywordAuthorNatural Burial-
dc.subject.keywordAuthorGrave-
dc.subject.keywordAuthorEcosystem Restoration-
dc.subject.keywordAuthorWoodland Restoration-
dc.subject.keywordAuthor수목장-
dc.subject.keywordAuthor자연장-
dc.subject.keywordAuthor묘지-
dc.subject.keywordAuthor생태계 복원-
dc.subject.keywordAuthor산림 복원-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