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즙산의 인간론과 개과천선의 유교치료학Theory of Human of Jishan and Confucian Therapeutics of Gaiguoqianshan

Other Titles
Theory of Human of Jishan and Confucian Therapeutics of Gaiguoqianshan
Authors
신현승
Issue Date
2012
Publisher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Keywords
즙산(蕺山); 유교; 치료; 인간론; 개과천선; Jishan; Confucianism; Therapy; Theory of Human; Gaiguoqianshan
Citation
철학연구, no.45, pp.73 - 110
Indexed
KCI
Journal Title
철학연구
Number
45
Start Page
73
End Page
110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10288
ISSN
1229-4470
Abstract
이 논고는 최근 국내 인문학계에서 첫 걸음을 내딛은 인문치료, 그 가운데 ‘철학치료’라는 새로운 시론으로서의 학문분야를 시야에 넣으면서 신유학적 인간론, 구체적으로는 중국 명대 말기에 활약한 어떤 한 유학자의 인간론을 통해 철학치료의 가능성을 묻고자 한다. 이 유학자가 바로 즙산(蕺山) 유종주(劉宗周)이다. 따라서 이 논고는 그의 『인보(人譜)』라는 저작에 주목하면서 최근 유행하는 철학치료의 문제의식과 관련하여 ‘유교치료학’의 가능성을 묻기 위해 기획한 것이다. 특히 즙산의 『인보』 가운데 「인보속편삼(人譜續篇三)」을 주요 논증자료로 삼았는데, 이 「인보속편삼」은 각각 「기과격(紀過格)」ㆍ「송과법(訟過法)」ㆍ「개과설삼편(改過說三篇)」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론의 첫 번째 절에서는 앞의 두 자료 「기과격」ㆍ「송과법」을 철학적 인식과 성찰이라고 이해하여 개인의 병리현상인 ‘과악(過惡)’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자기인식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절에서는 「개과설」을 주요 자료로 하여 철학치료(특히 유교치료학의 관점)로서 ‘성인됨’과 ‘개과천선(改過遷善)’의 유교치료법에 관하여 의론하였다. 우선 즙산의 유교치료학의 핵심 쟁점인 ‘개(改)’의 문제는 이 글자가 ‘고치거나 바로잡는다는 뜻’에서 치료적 의미를 지닌다고 지적하였다. 이 논문은 본문의 두 절에서 서술했듯이 즙산의 인간론에 관한 언설을 유교치료학의 한 부분으로 이해하였고, 그 가운데 지금은 동아시아에서 일상용어가 된 ‘개과천선’이라는 개념을 유교치료학과 연관시켜 논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