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평균수명을 이용한 사망률 예측모형 비교연구A Comparison Study for Mortality Forecasting Models by Average Life Expectancy

Other Titles
A Comparison Study for Mortality Forecasting Models by Average Life Expectancy
Authors
정승환김기환
Issue Date
2011
Publisher
한국통계학회
Keywords
Mortality forecasting model; average life expectancy; life table; Lee-Carter model; HP8 model.; 사망률 예측모형; 평균수명; 생명표; Lee-Carter 모형; HP8 모형.
Citation
응용통계연구, v.24, no.1, pp.115 - 125
Indexed
KCI
Journal Title
응용통계연구
Volume
24
Number
1
Start Page
115
End Page
125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13815
ISSN
1225-066X
Abstract
사망률 예측모형과 생명표 작성방법에 기반을 둔 예측평균수명 작성은 미래의 사망수준을 평가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된다. 2006년 통계청에서 장래인구추계 작성 시 예측평균수명을 작성하였으나, 2006년 이후 현재까지 실제평균수명과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평균수명의 증가속도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의 원인으로는 전망치에 대한 판단, 사망률 예측모형의 선택과 사용 등이 이유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망률 예측모형의 선택관점에서 이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2011년 장래인구추계 작성을 앞둔 상황에서 오류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는 사망률 예측모형에 대한 특성 및 적용가능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진 후 적절한 모형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사망률 예측모형은 주로 사용되고 있는 LC(Lee와 Carter) 모형과 이의 개선모형들, 사망확률 확장모형인 HP8(Heligman과 Pollard 8 parameters) 모형 등 모두 5개의 모형을 비교 ·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5개의 모형별로 2030년까지의 남녀별 예측평균수명을 작성하여 제시하였고, 이를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예측평균수명과 비교하였다. 5개의 모형에 의해 작성된 2030년까지의 새로운 예측평균수명은 통계청의 결과보다 높게 나타나 실제평균수명의 변화를 상대적으로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Economics and Statistic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KEE WHAN photo

KIM, KEE WHAN
경제통계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