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교사의 통합교육 역량강화를 위한 특수교육학개론 교직과목의 운영방안 모색: 미국대학의 강의계획서 분석을 중심으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손승현 | - |
dc.contributor.author | 서유진 | - |
dc.contributor.author | 나경은 | - |
dc.date.accessioned | 2021-09-08T06:33:59Z | - |
dc.date.available | 2021-09-08T06:33:59Z | - |
dc.date.issued | 2010 | - |
dc.identifier.issn | 1598-060X | - |
dc.identifier.issn | 2734-0090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17391 | - |
dc.description.abstract |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의 질이 강조되면서 2009학년도 입학생부터 예비교사들을 위한 특수교육학개론 교직과목이 교직소양과목으로서 필수과목으로 지정ㆍ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미국에서는 1990년대 초반부터 예비교사양성 프로그램에서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개설ㆍ운영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 초반부터 특수교육 교직과목이 예비교사 양성 프로그램에서 필수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는 미국의 대학에서 개설한 특수교육 교직과목의 강의계획서 중 CEC/INTASC의 특수교육 핵심교육내용 기준에 따라 수업목표와 내용을 체계적으로 제시한 강의계획서를 선별하였고, 강의계획서에 제시된 특수교육 교직과목의 수업목표, 내용, 활동들을 분석하였다. 강의 계획서 분석 결과, 예비교사를 위한 특수교육 교육과목은 전반적으로 CEC/INTASC의 대부분의 기준에 관련된 수업목표와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지만, CEC/INTASC의 기준1(기초)과 관련된 내용에 보다 중점을 두고 운영되고 있었다. 또한 특수교육 교직과목의 세부적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각 대학은 최대 9개, 최소 4개의 다양한 교수학습활동, 예를 들어, 출석관련활동, 미디어/공학 관련 활동, 개별/조별 프로젝트, 자원봉사/봉사학습 등 다양한 활동을 예비교사들에게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질 높은 통합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예비교사들을 양성, 배출하는 데 기초가 될 수 있는 특수교육학개론 교직과목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 - |
dc.format.extent | 33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 |
dc.title | 예비교사의 통합교육 역량강화를 위한 특수교육학개론 교직과목의 운영방안 모색: 미국대학의 강의계획서 분석을 중심으로 | - |
dc.title.alternative | Investigation for Management Plan of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se for Enhancement of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y for Inclusion: Based on Analysis of Syllabi from the Universities in the US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v.11, no.3, pp 129 - 161 | - |
dc.citation.title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 |
dc.citation.volume | 11 | - |
dc.citation.number | 3 | - |
dc.citation.startPage | 129 | - |
dc.citation.endPage | 161 | - |
dc.identifier.kciid | ART001483153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특수교육학개론 | - |
dc.subject.keywordAuthor | 통합교육 | - |
dc.subject.keywordAuthor | 예비교사 | - |
dc.subject.keywordAuthor | CEC/INTASC 기준 | - |
dc.subject.keywordAuthor |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inclusive educat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pre-service teacher | - |
dc.subject.keywordAuthor | CEC/INTASC standards | - |
dc.subject.keywordAuthor |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inclusive educat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pre-service teacher | - |
dc.subject.keywordAuthor | CEC/INTASC standards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145 Anam-ro, Seongbuk-gu, Seoul, 02841, Korea+82-2-3290-2963
COPYRIGHT © 2021 Korea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