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전통마을 공동체 공간의 문화경관 해석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수진-
dc.contributor.author심우경-
dc.contributor.author박정임-
dc.date.accessioned2021-09-08T06:43:21Z-
dc.date.available2021-09-08T06:43:21Z-
dc.date.created2021-06-17-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issn1738-236X-
dc.identifier.uri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1744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마을에서 공동체적 문화가 행해지던 공간의 문화경관적 해석을 통하여 전통마을에서 면면히 이어져 온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마을단위의 주거단지 계획 시 공동체적 공간을 설정, 활용하는 간접적인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사례연구지는 역사, 문화, 예술적으로 전승가치가 있으며, 전통문화를 잘 보존, 전승하고 있는 18개의 전통마을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의 방법으로는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각 마을별 공동체 공간을 장소의 활용과 기능에 따라서 사회적 영역과 의식적 영역으로 분리하여 고찰하였다. 또 의식적 영역을 유교적 의례공간과 민속적 의례공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는 각 조사대상지의 공동체 공간요소의 위치를 파악하여 공간의 이용주체와 공간의 장소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공동체 공간의 요소별 분석으로 근대 이후 건립된 공동체 요소는 현재적 기점에서, 그리고 과거 조성되어 소실 등의 이유로 장소성이 상실되거나, 기능이 상실된 공동체 공간의 경우는 회고적 기점에서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전통마을의 공동체 공간에 내재된 문화경관은 마을 주민들의 사회적 관계의 영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주민들의 공동체 공간이 단지 개별적인 독립된 계층에 의해 점유된 공간이라기보다는 공간의 사용유무에 따라 다의적인 장소로서의 활용이 가능하였다. 또한 남녀노소의 사용계층에 따라서 공간의 점유가 분리되고 차별화되어 있지만 서로 간의 암묵적인 소통을 통하여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고자 하였다.-
dc.languageKorean-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전통조경학회-
dc.title전통마을 공동체 공간의 문화경관 해석-
dc.title.alternative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based on Community Spaces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s-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심우경-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전통조경학회지, v.28, no.4, pp.14 - 27-
dc.relation.isPartOf한국전통조경학회지-
dc.citation.title한국전통조경학회지-
dc.citation.volume28-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14-
dc.citation.endPage27-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1516832-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Korean Traditional Villages-
dc.subject.keywordAuthorCultural Landscape-
dc.subject.keywordAuthorCommunity Spirit-
dc.subject.keywordAuthorCommunity Space-
dc.subject.keywordAuthor전통마을-
dc.subject.keywordAuthor문화경관-
dc.subject.keywordAuthor공동체 의식-
dc.subject.keywordAuthor공동체 공간-
dc.subject.keywordAuthorKorean Traditional Villages-
dc.subject.keywordAuthorCultural Landscape-
dc.subject.keywordAuthorCommunity Spirit-
dc.subject.keywordAuthorCommunity Space-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