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개벽 사상의 전개와 성격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노길명-
dc.date.accessioned2021-09-09T13:52:30Z-
dc.date.available2021-09-09T13:52:30Z-
dc.date.created2021-06-17-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issn1225-195x-
dc.identifier.uri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24724-
dc.description.abstract한국 신종교 운동의 핵심 사상인 개벽 사상은 기존 사회 질서의 종말과 민중 구원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서구의 천년왕국 신앙과 성격을 같이한다. 그러나 개벽 사상은 순환론 내지는 원환론적 시간 관념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근대’의 충격으로 손상된 민족적 정체성과 자존심을 회복코자하는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하다는 점에서는 기존의 천년왕국 신앙과는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이것은 개벽 사상이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특징인 계급 모순과 민족 모순에 대한 고발인 동시에, 민중 해방과 민족 해방의 염원이 응결되어 나타난 사상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초기의 개벽 사상은 인간의 의지나 노력과는 무관하게 개벽이 도래할 것이라는 운명론적 성향이 강하다. 따라서 개벽 때 닥칠 환난을 면하고 선경에 참여하는 방법을 포교의 주요 수단으로 삼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경향은 특정 지역으로 도피하거나 주술적 믿음에 의지하면서 후천선경에 참여할 것만을 고대하는 태도로 나타난다. 그러나 교리의 체계화와 사회와의 관계 정립을 통해 제도화과정을 거치면서, 개벽이란 우주의 운행 법칙인 운도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이상 세계의 실현을 위해서는 그에 부응하는 인간의 의지도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의 개혁과 발전을 위한 동력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종단과 사회와의 관계를 강화시킨다는 점에서 종단의 안정과 제도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dc.languageKorean-
dc.language.isoko-
dc.publisher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dc.title개벽 사상의 전개와 성격-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Gaebyok Thought-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노길명-
dc.identifier.doi10.17790/kors.2008.0.28.18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학연구, v.0, no.28, pp.181 - 204-
dc.relation.isPartOf한국학연구-
dc.citation.title한국학연구-
dc.citation.volume0-
dc.citation.number28-
dc.citation.startPage181-
dc.citation.endPage204-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1262490-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Gaebyok(開闢-
dc.subject.keywordAuthorthe Great Transformation)-
dc.subject.keywordAuthoreschatology-
dc.subject.keywordAuthormillenarian thought-
dc.subject.keywordAuthorKorean new religious movements.-
dc.subject.keywordAuthorGaebyok(開闢-
dc.subject.keywordAuthorthe Great Transformation)-
dc.subject.keywordAuthoreschatology-
dc.subject.keywordAuthormillenarian thought-
dc.subject.keywordAuthorKorean new religious movements.-
dc.subject.keywordAuthor개벽-
dc.subject.keywordAuthor천년왕국-
dc.subject.keywordAuthor민족종교-
dc.subject.keywordAuthor신종교운동-
dc.subject.keywordAuthor종말론-
dc.subject.keywordAuthor동학-
dc.subject.keywordAuthor정역-
dc.subject.keywordAuthor증산교-
dc.subject.keywordAuthor원불교-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Public Policy > Public Sociology in Division of Public Sociology and Korean Unification/Diplomac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