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두식 변격한문의 역사적 실상과 연구과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심경호 | - |
dc.date.accessioned | 2021-09-09T13:53:45Z | - |
dc.date.available | 2021-09-09T13:53:45Z | - |
dc.date.created | 2021-06-17 | - |
dc.date.issued | 2008 | - |
dc.identifier.issn | 1226-6388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24731 | - |
dc.description.abstract | 최근 한문산문의 연구는 산문 작품의 미학성과 산문 비평론에 대한 고찰을 중심에 두고 있다. 곧, 고문·소품·의고문과 같은 문체 개념과 그 변이 양상에 대해 논하거나 한문산문이 지닌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한문산문 연구는 한국의 한문산문이 지닌 민족적 성격이나 한문산문 발달의 역사적 특성을 조망하지 못하고 있다. 한문산문 연구는 산문의 문예성을 탐구하는 방향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고유한 한문문체를 보다 넓고 큰 시각에서 분류하고, 정통 한문과 구별되는 변격 한문의 특성을 밝히는 한편, 한문산문에 고유어휘와 고유표현을 사용하는 방식에 대해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특히 전근대시기의 한문이 정격 한문(고문, 의고문, 소품)만이 아니라 이문(吏文)과 조선식 한문을 포괄하며, 정격 한문의 발달은 이문이나 조선식 한문과 길항하거나 서로 교섭하면서 발달하였던 사실에 주목하자는 것이었다. 본고는 이 문제와 관련하여 다시 몇 가지 사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우선, 한문산문의 연구의 새로운 과제 설정을 하고 「불국사무구정광탑중수기(佛國寺无垢淨光塔重修記)」 판독 참여의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두식 변격한문의 역사적 실재와 이두식 변격한문의 평가 문제를 다루었다. 정격의 한문은 사대문서 등 조선정부의 공식 문서나 귀족 양반들의 시문, 서간 등 실용문서 등에서 사용되는 한편, 이두문에 기반을 둔 변격의 한문은 지방 군현의 관부문서(향리계층), 귀족 양반층의 민원소송, 매매계약, 상속치부문건과 가내의 의사소통, 왕실기록류(儀軌․謄錄 등)에서 광범하게 사용되었다. 이제까지 한문산문 연구는 정격의 한문 가운데서도 귀족 양반들의 시문이나 서간 등 실용문서에 관심을 두고, 그 가운데서도 문예성이 높은 작품을 선별하여 고찰하여 왔다. 하지만 앞으로 한문산문 연구는 이른바 문예성이 높은 작품의 해독에 치중하거나 문예적 한문산문의 문체 발달 상황을 개관하는 단계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민족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하게 발전하여온 실용적 한문산문의 문체에 대해 깊은 관심을 두고, 그 자체의 발전 양상과 그것이 이른바 문예적 산문과 상호 영향을 끼친 사실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한문산문의 연구자들은 직해, 이두문의 문체에 대하여 그 사례를 철저히 조사하고, 문체 조직의 원리를 충분히 설명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주로 국어학자들이 연구해 오고 있는 각필(角筆)에 대해서도, 한문산문 연구자들이 그 문체적 활용의 특성을 구명하는데 적극 동참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 |
dc.language | Korean | - |
dc.language.iso | ko | - |
dc.publisher | 민족어문학회 | - |
dc.title | 이두식 변격한문의 역사적 실상과 연구과제 | - |
dc.title.alternative | The several suggestions for the studying prose style of Chinese writing-In connection with studies of Idu-style works- | - |
dc.type | Article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심경호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어문논집, no.57, pp.201 - 232 | - |
dc.relation.isPartOf | 어문논집 | - |
dc.citation.title | 어문논집 | - |
dc.citation.number | 57 | - |
dc.citation.startPage | 201 | - |
dc.citation.endPage | 232 | - |
dc.type.rims | ART | - |
dc.identifier.kciid | ART001234443 | - |
dc.description.journalClass | 2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이문(吏文) | - |
dc.subject.keywordAuthor | 「불국사무구정광탑중수기(佛國寺无垢淨光塔重修記)」 | - |
dc.subject.keywordAuthor | 조선식 한문 | - |
dc.subject.keywordAuthor | 변격 한문 | - |
dc.subject.keywordAuthor | 실용적 한문산문 | - |
dc.subject.keywordAuthor | 직해·이두문의 문체 | - |
dc.subject.keywordAuthor | Chinese writing of the petty official(吏文) | - |
dc.subject.keywordAuthor | Choseon style&apos | - |
dc.subject.keywordAuthor | s Chinese writing | - |
dc.subject.keywordAuthor | irregular Chinese writing | - |
dc.subject.keywordAuthor | practical proses | - |
dc.subject.keywordAuthor | Idu-style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02841)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02-3290-1114
COPYRIGHT © 2021 Korea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