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8세기 韻書 編纂과 淸代 古音學 受容 硏究 -특히 『奎章全韻』 편찬을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상현-
dc.date.accessioned2021-09-09T17:37:52Z-
dc.date.available2021-09-09T17:37:52Z-
dc.date.created2021-06-17-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issn1225-1321-
dc.identifier.uri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25871-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18세기 조선에서 편찬된 운서 가운데 古音學을 수용한 흔적이 보이는 增補三韻通考ㆍ華東音通釋ㆍ奎章全韻을 대상으로 청대 고음학 연구 성과의 수용 양상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18세기 운서 편찬에서 고음학 수용이 가지는 의의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먼저 청대 고음학 수용 양상을 살펴보면, 증보삼운통고에서는 卷末에 ‘古韻通’을 두어 毛奇齡과 邵長의 고운 분부 체계를 제시하여 通押할 때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화동협음통석에서는 총 86운 3,000여의 韻字만을 수록하고 있는데, 이것은 명나라 말 潘恩이 詩韻輯略에서 분부한 고운 체계와 협음자를 그대로 수용한 것이다. 규장전운에서는 매 운의 뒤에 ‘’과 ‘通’을 두어 각 운에 해당하는 韻과 通韻을 싣고 있는데, 이것은 이덕무 등 편찬에 참여한 학자들이 ‘청대 고음학 연구 성과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한 결과라고 하겠다. 그리하여 소장형이 古今韻略에서 수록한 韻字와 通韻字를 중심으로 하면서 고염무의 音學五書와 같은 당시의 주요 논의들을 참고로 취사선택하여 수용하고 있다.고음학 수용에서 특징적인 면으로는 대체로 소장형의 학설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것인데, 이것은 소장형이 편찬한 고금운략과 그의 학설이 청대 고음학 연구 성과를 충분히 수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古韻과 韻을 청대의 今音으로 증보한 것이어서 실생활에의 응용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당시 조선에서 모범으로 삼기에 적당한 운서였기 때문이었다.이와 같이 조선후기 운서 편찬에서 청대 고음학 연구 성과를 수용하게 된 것은 원나라 이후 변화된 중국어의 영향으로 잘못 변화된 조선의 한자음을 바로잡고, 이를 규범화하는 과정에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당시 중국 한자음은 入聲韻尾 /-p, -t, -k/의 소실과 韻尾 /-m/의 /-n/으로의 변화, 그리고 ‘兒化’ 현상 같은 특징들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것은 조선의 한자음에도 영향을 끼쳐 당시 음운생활과 經書의 讀音에 상당한 혼란을 초래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혼란을 운서의 편찬을 통해서 바로잡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청대 고음학 연구 성과를 수용하여 변화된 조선의 한자음을 규범화하는 데에 활용하였다고 하겠다.-
dc.publisher한국한문교육학회-
dc.title18세기 韻書 編纂과 淸代 古音學 受容 硏究 -특히 『奎章全韻』 편찬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a Compilation of Rime Dictionaries in the 18th Century of Chosun(朝鮮) Dynasty and Acception of the Archaic Chinese Phonology Developed by the Qing(淸) Dynasty-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신상현-
dc.identifier.doi10.17963/ccek.2007.28.1.29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漢文敎育硏究, v.28, no.1, pp.297 - 328-
dc.relation.isPartOf漢文敎育硏究-
dc.citation.title漢文敎育硏究-
dc.citation.volume28-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297-
dc.citation.endPage328-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1065919-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Archaic Chinese Phonology-
dc.subject.keywordAuthorRime Dictionary-
dc.subject.keywordAuthorending sounds-
dc.subject.keywordAuthorJeungbo-Samun-tonggo(增補三韻通考)-
dc.subject.keywordAuthorHwadong-Hyeopeum-Tongsuk(華東叶音通釋)-
dc.subject.keywordAuthorKyujang-Junun(奎章全韻)-
dc.subject.keywordAuthor古音學-
dc.subject.keywordAuthor韻書-
dc.subject.keywordAuthor入聲-
dc.subject.keywordAuthor增補三韻通考-
dc.subject.keywordAuthor華東音通釋-
dc.subject.keywordAuthor奎章全韻-
dc.subject.keywordAuthorArchaic Chinese Phonology-
dc.subject.keywordAuthorRime Dictionary-
dc.subject.keywordAuthorending sounds-
dc.subject.keywordAuthorJeungbo-Samun-tonggo(增補三韻通考)-
dc.subject.keywordAuthorHwadong-Hyeopeum-Tongsuk(華東叶音通釋)-
dc.subject.keywordAuthorKyujang-Junun(奎章全韻)-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ssociate Research Center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