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개화기 학교교육에서 근대적 위생개념의 형성A Study on the Formation of Modern Sanitary Concept in School Education During the Period of Enlightenment(1881 1910) in Korea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ormation of Modern Sanitary Concept in School Education During the Period of Enlightenment(1881 1910) in Korea
Authors
전민호신현정
Issue Date
2020
Publisher
안암교육학회
Keywords
sanitary; a science textbook; a natural history textbook; school hygiene; public health; 위생; 이과 교과서; 박물 교과서; 학교위생; 공중위생
Citation
한국교육학연구, v.26, no.2, pp.231 - 257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교육학연구
Volume
26
Number
2
Start Page
231
End Page
257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0905
DOI
10.29318/KER.26.2.10
ISSN
1598-9054
Abstract
본 연구는 개화기 학교교육에서 근대적 위생개념의 형성에 관해 고찰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부는 대부분의 근대적 학교에서 이과나 박물 과목을 통해 위생 관련 내용을 다루도록 법령으로 규정하였다. 이것은 위생을 통해 국민의 신체를 통제하려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었다. 둘째, 이 시기에 학교교육에서 사용된 위생 관련 교과서에는 학교 수준이나 저자의 편찬 의도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뼈, 근육, 피부, 혈액, 순환, 호흡, 배설, 소화기 등 신체 생리에 관해 설명하고 그에 대한 위생을 서술하고 있다. 하지만 교과서 역시 교육법령과 마찬가지로 교육을 통해 국민의 신체를 통제하려는 의도를 내재하고 있었다. 셋째, 이 시기의 교육학 교재는 국가주의적 관점에서 위생을 다루었고, 전통교육기관인 서당에 관한 법령(1908)에도 근대적 위생개념을 반영하여 국가의 통제 하에 두려 하였다. 넷째, 헐버트는 「건의서」를 통해 근대적 위생개념을 학교교육에 적용하려 하였다. 결국 개인의 건강을 넘어 국민의 건강을 목표로 하는 신체의 국민화를 위한 위생개념은 근대국가의 건설과 근대적 제도 개혁의 일환으로 진행된 학교교육에서도 형성되어 전개되고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History and Philosophy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