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기 박태원의 문장론Park Tae-won’s syntax in the Liberation period
- Other Titles
- Park Tae-won’s syntax in the Liberation period
- Authors
- 문혜윤
- Issue Date
- 2020
- Publisher
- 한국현대소설학회
- Keywords
- The Affair of Joseon Language Society; Liberation Period; Park Tae-won; syntax; Korean language; The Recovery Movement of Korean Words; Model Sentences for Secondary School; Composition for Secondary School; 조선어학회사건; 해방기; 박태원; 문장론; 국어; 우리말 도로 찾기 운동; 『중등문범』; 『중등작문』
- Citation
- 현대소설연구, no.77, pp.177 - 208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현대소설연구
- Number
- 77
- Start Page
- 177
- End Page
- 208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1299
- ISSN
- 1229-3830
- Abstract
- 박태원의 문장론은 일제강점기 신문과 잡지에 산재되었지만, 해방기에 출간된『중등문범』(1946), 『중등작문』(1948)을 함께 살펴야 전체적인 면모를 이해할수 있다. 그간 박태원의 문장론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진 바 없으나, 이태준의 『문장강화』와 김기림의 『문장론신강』 사이를 잇는 해방기 대표 문장론으로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일제강점기 박태원의 문장론에는 ‘표준’이 강조되었다. 조선어로 글을 쓰는 행위자체를 중시하였으며, 당시 형성 중이던 ‘표준’과 ‘규범’을 벗어난 것들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한자어, 외래어, 번역어 등을 통해 타자성을 드러내는 실험을계속하였다. 표현 범위의 확장을 통해 조선어 문장의 수준을 끌어올리려는 구상을드러낸 것이다. 즉 그 당시 박태원은 ‘표현=묘사=기교’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해방 이후 박태원이 간행한 두 권의 『중등문범』, 『중등작문』은 타자의 흔적을억압하고서 성립된 ‘국어’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이 두 권의 단행본 속에는 ‘어떤국어’를 수립할 것인가의 문제보다, ‘이미 수립된 국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의문제가 두드러진다. 해방기에는 국어로 글을 쓰는 행위 자체를 국어의 성립으로보지 않았으며, 문장 쓰기가 작법 혹은 수사(修辭) 등의 기술적 문제로 축소되었다. ‘국어’와 ‘문장’이 구분되는 분기점을 보여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Culture and Sports > Division of Culture Creativity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