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931년 식민지 조선 반중국인 폭동의 학살 현장 검토1931 Anti-Chinese Riots and Sites of Massacre in Colonial Korea

Other Titles
1931 Anti-Chinese Riots and Sites of Massacre in Colonial Korea
Authors
정병욱
Issue Date
2019
Publisher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Keywords
1931년 반중국인 폭동; 노동시장 갈등; 학살; 폭력의 정당화; 중국영사관과 중국거리; 1931 Anti-Chinese Riots; Labor Market Conflict; Massacre; the Justification of Violence; Chinese Consulate and Chinese Street
Citation
史叢(사총), no.97, pp.113 - 155
Indexed
KCI
Journal Title
史叢(사총)
Number
97
Start Page
113
End Page
155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1604
DOI
10.16957/sa..97.201905.113
ISSN
1229-4446
Abstract
이글에서 1931년 반중국인 폭동 때 학살이 일어났던 인천, 평양과 그 인근, 신의주 및 원산 인근의 현장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폭동과 학살의 요인들을 재검토하였다. 인천과 평양 지역에서는 도시에서, 신의주와 원산 지역에서는 도시와 떨어진 작업장(공사장 또는 채소밭)에서 학살이 일어났다. 도시라 해도 도시 외곽에서 학살이 많이 벌어졌다. 중국인 피해자는 광공업 농업 상업 등의 하층 노동자가 많았으며 그 증가에 따라 수요가 발생한 음식업 종사자가 있었다. 학살 관련 조선인 피고인은 전체 폭동의 ‘유죄확정자’보다 도시 하층의 직업군에 속하는 피고용인 비중이 높았다. 그들 중 상당수는 일자리를 찾아 주변 군과 다른 도에서 도시로 모여든 자들이었다. 학살의 현장은 일자리를 찾아 국내외에서 도시 주변으로 모여든 조선노동자와 중국노동자의 갈등이 폭동과 학살의 배경임을 말해준다. 모든 노동시장의 갈등이 폭동과 학살로 비화하는 것은 아니다. 1931년 7월 폭동과 그 전후 충돌의 차이점은 폭력의 정당화 여부였다. 1931년 7월 상황은 이전이나 이후와 달리 계급적 이해를 넘어서 중국에서 박해받는 동포를 위해 복수한다는 도시 하층 조선인 노동자의 폭력 논리가 조선인 사회에서 광범위하게 승인을 받았다. 폭동에 참여한 수많은 군중은 이러한 승인과 정당성 부여를 상징한다. 또 평양에서 많은 학살이 일어난 이유로 다른 요인들과 함께 중국영사관과 중국거리가 없었던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사건의 행위 주체들이 폭동과 학살로 나아가게 하는 요인으로 정당화나 유언비어를 들 수 있다. 반대로 폭동과 학살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조선총독부의 경찰력, 중국인의 대응을 들 수 있다. 중국인의 대응에는 피신에서 맞서 싸우는 방어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구심점은 중국영사관과 중국거리라 할 수 있다. 평양은 당시 도시 중 중국인 인구가 신의주, 경성 다음으로 많았는데도 중국영사관과 중국거리가 없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ssociate Research Center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