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 리질리언스: 포스트 위험사회의 안전지수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영근 | - |
dc.date.accessioned | 2021-12-17T13:40:19Z | - |
dc.date.available | 2021-12-17T13:40:19Z | - |
dc.date.created | 2021-08-31 | - |
dc.date.issued | 2018 | - |
dc.identifier.issn | 1598-4990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1875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논문의 목적(문제의식)은 안전학의 구축을 위한 요소 및 이슈를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재해 리질리언스, 사전부흥, 과학의 개념을 학제적으로 생활 속에서 구현하고 실천하기 위한 이론 및 사례 점검이라 할 수 있다. 첫째, 포스트 위험사회를 대비하는 차원의 재해(재난)학 및 안전학에 관한 이론적 고찰이다. 둘째, 재난 현장에서의 일반 시민들의 정서와 감정적인 측면까지 상정(통합)한 의사소통 즉 <리스크 커뮤니케이션(Risk communication)> 이론(연구)의 활용이다. 셋째, 재해 발생 이전(災前)의 대응(거버넌스)에 주목하는 ‘사전부흥’ 개념의 도입이다. 넷째, 안전문화 및 재해부흥문화를 바탕으로 한 ‘안전지수’에 관한 논의가 절실하다. 여기서 안전지수란 개인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수준의 안전에 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또한 안전을 느끼는 상태(정도)에 대한 평가로서 ①심리적 안전 ②제도・시스템적 안전 ③사회안전 생태계 ④안전의식(문화) ⑤위험요소 등에 의해 변화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다섯째, 위기 및 리스크 등을 관리함으로써 재해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복원성을 의미하는 ‘리질리언스’ 개념의 도입 및 정착이 매우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아직까지도 적절성과 효율성이 미흡한 재해 리질리언스의 구축을 위해서는 재해학 및 안전학의 구축,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적확하고 효율적인 활용, ‘사전부흥’ 개념의 도입과 확산, 안전문화 및 재해부흥문화를 바탕으로 한 ‘안전지수’의 확립이라는 다양한 요소들이 밀접하게 상호 연계되어 있다는 점이다. | - |
dc.language | Korean | - |
dc.language.iso | ko | - |
dc.publisher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 |
dc.title | 재해 리질리언스: 포스트 위험사회의 안전지수 | - |
dc.title.alternative | Disaster Resilience: Safety Index of Post–Risk Society | - |
dc.type | Article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김영근 | - |
dc.identifier.doi | 10.32624/stofja.2018..29.333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일본연구, no.29, pp.333 - 356 | - |
dc.relation.isPartOf | 일본연구 | - |
dc.citation.title | 일본연구 | - |
dc.citation.number | 29 | - |
dc.citation.startPage | 333 | - |
dc.citation.endPage | 356 | - |
dc.type.rims | ART | - |
dc.identifier.kciid | ART002319563 | - |
dc.description.journalClass | 2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재해 리질리언스 | - |
dc.subject.keywordAuthor | 안전학 | - |
dc.subject.keywordAuthor | 재난학 | - |
dc.subject.keywordAuthor | 포스트 위험사회 | - |
dc.subject.keywordAuthor | 안전지수 | - |
dc.subject.keywordAuthor | 사전부흥 | - |
dc.subject.keywordAuthor | 안전문화 | - |
dc.subject.keywordAuthor |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 - |
dc.subject.keywordAuthor | 리스크 매니지먼트 | - |
dc.subject.keywordAuthor | disaster resilience | - |
dc.subject.keywordAuthor | disaster studies | - |
dc.subject.keywordAuthor | safety (security) studies | - |
dc.subject.keywordAuthor | increased risk society | - |
dc.subject.keywordAuthor | safety index | - |
dc.subject.keywordAuthor | pre-disaster restoration (Build Back Better for Disaster Reduct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safety culture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02841)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02-3290-1114
COPYRIGHT © 2021 Korea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