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9세기 압록강 유역의 환경과 개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선민-
dc.date.accessioned2021-12-20T00:40:51Z-
dc.date.available2021-12-20T00:40:51Z-
dc.date.created2021-08-31-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issn1229-4446-
dc.identifier.uri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2228-
dc.description.abstract건국 초기부터 청 황실은 압록강 유역을 포함하여 만주 일대에서 생산되는 인삼・초피・진주 등 동북의 자연자원을 독점적으로 장악하고 이를 통해 만주족의 특권을 보호하기 위해 청 황실은 한인의 만주 출입을 통제했다. 만주의 자연자원을 얻으려는 사람들의 욕망을 봉금이라는 국가 정책으로 통제하려 했던 것이다. 19세기에 이르러 인삼・초피・진주가 황실 주도의 지속적인 채취로 고갈된 후 사람들의 갈망의 대상은 오랫동안 비워져 있었던 만주의 비옥한 토지와 풍부한 삼림으로 바뀌었다. 토지와 목재가 인삼과 초피를 대신하여 만주의 핵심적인 자연자원이 될 무렵, 청 황실의 권위는 이미 약화되었고 더 이상 강력한 봉금을 강제할 힘이 없었다. 만주의 자연자원에 대한 한인의 갈망과 만주족 특권의 약화가 결합하면서 만주 일대에서 불법적인 토지 개간과 벌목이 만연하게 되었다. 19세기 말에 이르러 청 정부는 압록강 유역에 확산된 한인의 이주와 개간이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음을 확인하고, 마침내 봉금을 해제하고 관청을 설치하여 세금을 징수하기로 했다. 만주의 자연자원을 새로운 방식으로 이용하고자 했던 이주민들이 국가를 압박하여 봉금을 해제하고 移民實邊을 추진하게 했던 것이다. 봉금이 해제되기 전부터 압록강 유역에서 개간과 벌목은 계속 확산되고 있었다. 불법개간과 벌목을 막기 위해 청은 단속을 강화하고 조선과 공동 수색을 정례화하는 등 봉금지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계속했다. 그러나 한인 유민의 이주와 개간이 확대되자 청 정부는 결국 봉금을 해제하고 압록강 유역의 거주민을 합법화하기로 결정했다. 한편 압록강 상류의 남쪽에 위치한 조선의 폐사군에도 이주민의 유입이 계속 확대되면서 조선 정부에서도 북방을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압록강 북안에 거주하는 청인이 증가하자 이들을 방어하기 위한 목적에서도 조선의 북방 개발은 필요했다. 한인의 이주와 개발의 압력에 밀려 청이 압록강 유역의 봉금을 해제한 것과 같은 시기에 조선 역시 폐사군을 복설함으로써 양국이 수백년간 유지해온 완충지대는 마침내 사라졌다. 국가에 의해 강제되어 온 봉금이 해제되자 압록강 유역의 자연자원을 둘러싼 사람들의 경쟁은 더욱 격화되었다. 특히 이 지역의 풍부한 삼림자원을 통해 이익을 얻고자 하는 벌목업자들은 국가의 단속에 반발하며 스스로 무장집단으로 발전해갔다. 이 과정에서 청인 벌목업자들이 조선인 이주민과 합세하여 조선의 관청을 습격하는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사건은 19세기 말 압록강 유역에서는 자연과 인간, 그리고 국가의 상호작용이 청과 조선의 경계를 넘어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벌목과 개간의 확대는 만주의 자연환경을 인식하고 이용하는 방식이 19세기에 이르러 만주족의 방식에서 한인의 방식으로 변화했음을 나타낸다.-
dc.languageKorean-
dc.language.isoko-
dc.publisher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dc.title19세기 압록강 유역의 환경과 개발-
dc.title.alternativeEnvironmental relations in the Yalu River reg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선민-
dc.identifier.doi10.16957/sa..91.201705.18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史叢(사총), no.91, pp.187 - 226-
dc.relation.isPartOf史叢(사총)-
dc.citation.title史叢(사총)-
dc.citation.number91-
dc.citation.startPage187-
dc.citation.endPage226-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224378-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the Yalu River-
dc.subject.keywordAuthorenvironment-
dc.subject.keywordAuthorrestriction-
dc.subject.keywordAuthorthe Four Closed Counties-
dc.subject.keywordAuthordevelopment-
dc.subject.keywordAuthortimber logging-
dc.subject.keywordAuthor압록강-
dc.subject.keywordAuthor자연환경-
dc.subject.keywordAuthor봉금-
dc.subject.keywordAuthor폐사군-
dc.subject.keywordAuthor개간-
dc.subject.keywordAuthor벌목-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ssociate Research Center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eon min photo

Kim, Seon min
민족문화연구원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