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2세기 고려청자에 보이는 宋・金代 定窯 자기의 영향과 의미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윤정-
dc.date.accessioned2021-12-20T13:40:33Z-
dc.date.available2021-12-20T13:40:33Z-
dc.date.created2021-08-31-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issn1975-8731-
dc.identifier.uri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2291-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강진 사당리 요지와 정요 요지 관련 신자료들을 중심으로 12세기 고려청자에 보이는 송, 금대 정요 자기의 조형적 영향 관계와 의미를 고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중국내 유적에서도 거의 발견된 예가 없는 金彩 정요 자기를 포함하여 고려시대 유적에서 출토되는 정요 자기의 제작 수준과 품질이 매우 높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고려 사회에서 정요 자기를 사용하던 계층이 왕실이나 귀족, 고위 관료 등 상류층이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12세기에 고려청자에 정요 자기의 영향이 미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정요 자기와 조형적인 영향 관계가 보이는 고려청자는 품질이 매우 좋으며, 왕실 관련 청자를 제작하던 강진 사당리 일대 요지에서 주로 출토되었다. 특히, 이룡문이 시문된 다양한 종류의 접시와 발류는 정요 자기와 크기, 기형, 문양 구성 까지 유사한 예가 많았다. 이외에도 마갈문, 용문, 모란문, 연화문, 훤화문, 물가풍경문 등에서 정요 자기의 영향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서긍이 『고려도경』에 기록한 정기제도는 ‘정요 자기의 양식’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서긍이 기록한 것처럼 접시, 완, 탕잔 등의 다양한 일상 기명에서 정요 자기의 조형적 영향이 보이고, ‘정기’와 ‘제도’의 의미를 문헌자료에서 확인하여 기존 연구보다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 넷째, 12세기 고려청자에 영향을 미친 정요 자기는 송, 금대 궁정에서 사용된 매우 수준 높은 그릇이었을 것으로 보았다. 고려청자의 조형에 영향을 미친 정요 자기의 품질, 명문, 문양의 의미, 건륭제 명으로 1785년에 간행된 황실 소장 珍品 圖冊인 『珍陶萃美』와 『精陶韞古』의 내용 등을 근거로 제시하였다. 다섯째, 본고에서 제시한 북송 말기 정요 자기의 영향을 받은 고려청자를 서긍의 기록과 연결하여 보면 북송 말기 궁정용 정요 자기가 거의 동시기 고려청자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근래에 고려청자의 色澤이 더욱 아름다워졌다’는 1123년의 서긍의 기록에 부합하는 12세기 1/4분기 경의 고려청자의 발전 양상과 편년 기준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dc.languageKorean-
dc.language.isoko-
dc.publisher(사)한국문화유산협회-
dc.title12세기 고려청자에 보이는 宋・金代 定窯 자기의 영향과 의미-
dc.title.alternativeThe Significance and Influence of Song・Jin Dynasty Ding Ware(定窯) on 12th Century Goryeo Celadon-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윤정-
dc.identifier.doi10.35347/jkfa.2017..29.3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야외고고학, no.29, pp.39 - 70-
dc.relation.isPartOf야외고고학-
dc.citation.title야외고고학-
dc.citation.number29-
dc.citation.startPage39-
dc.citation.endPage70-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246998-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고려청자-
dc.subject.keywordAuthor정요 자기-
dc.subject.keywordAuthor정기제도-
dc.subject.keywordAuthor이룡문-
dc.subject.keywordAuthor마갈문-
dc.subject.keywordAuthor모란문-
dc.subject.keywordAuthor연화문-
dc.subject.keywordAuthor훤화문-
dc.subject.keywordAuthorGoryeo celadon-
dc.subject.keywordAuthorDing ware-
dc.subject.keywordAuthordingqi zhidu-
dc.subject.keywordAuthordragons-
dc.subject.keywordAuthormakara-
dc.subject.keywordAuthorpeonies-
dc.subject.keywordAuthorlotus flowers-
dc.subject.keywordAuthorday lili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