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唐代 시인의 사회 연결망 분석 (1) - 社交詩에 대한 빅데이터와 인포그래픽 기반의 접근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준연-
dc.date.accessioned2021-12-20T14:40:53Z-
dc.date.available2021-12-20T14:40:53Z-
dc.date.created2021-08-31-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issn1226-850x-
dc.identifier.uri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2298-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전당시』에 수록된 5만여 수의 시 가운데 15,000수로 추산되는 사교시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원용해 시인의 사회 연결망을 고찰한 것이다. 고찰의 결과를 연결망의 각도에서 분석하고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노드액셀(NodeXL)을 사용했다. 사교시는 시제에 비교적 뚜렷한 지표(indicator)를 가지고 있는데, 기증시의 ‘寄’, ‘呈’과 ‘贈’, 송별시의 ‘送’과 ‘別’, 창화시의 ‘和’, ‘答’과 ‘酬’ 등이 그러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지표를 이용해 『전당시』에서 먼저 사교시를 추출하고, 연결망 분석을 위해 창작 시점과 수신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본고는 전체 연구의 전반부로서 먼저 초당과 성당 시인 287명의 사교시를 연구범위로 삼았다. 초당 전기와 후기의 연결망을 비교한 결과, 전기에 군신 간의 창화에 의존했던 사교시는 후기 들어 시인 상호 간의 연결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르면 당대 사교시가 본격적인 출범을 알린 시기는 초당 후기라고 판단된다. 초당 시기에 형성된 여러 시인 집단 가운데 내적 결속력이 가장 강한 집단은 ‘文章四友’로 밝혀졌다. 이들은 서로 많은 사교시를 주고받으며 근체시 발전에 지대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沈宋’으로 나란히 불리는 沈佺期와 宋之問은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상호 간의 연결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연결망도 각기 독자적으로 구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향연결뿐만 아니라 내향연결도 다양하게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초당 후기의 연결망은 宋之問이 주도한 것으로 판단된다. 초성당 과도기의 연결망은 蘇頲, 張說, 張九齡을 위시한 재상급 후원자에 의해 조직되었다. 이들 가운데 특히 張說은 시단의 실질적인 영수로서 초당의 陳子昂을 계승하여 盛唐詩의 기틀을 다진 것으로 평가된다. 盛唐의 연결망 분석에서는 먼저 산수시와 변새시의 확산 과정에 주목했다. 산수시를 대표하는 ‘왕맹시파’와 변새시를 대표하는 ‘고잠시파’가 독자적으로 연결망을 구축한 가운데, 王昌齡, 李白, 杜甫, 祖詠 등의 시인이 두 시파를 매개하며 교류를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산수와 변새를 소재로 한 이들의 시는 사교시를 전달 매개로 삼아, 일종의 ‘사회적 전염’과 같은 확산 현상을 보여주었다. 성당을 대표하는 두 시인인 李白과 杜甫의 연결망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백이 기질과 성향이 비슷한 동류의 시인들과 자주 어울린 반면 두보는 간알을 목적으로 고급관료들과 접촉이 많았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 결과 이백이 사교시에서 더 높은 성취를 거두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전체적인 연결망의 양상을 볼 때 이백과 두보 두 시인이 상당한 수준의 연결 정도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은 여전히 특기할 만한 일이라고 평가된다. 安史의 난을 전후로 성당 시인의 연결망은 크게 요동쳤다. 안사의 난 이전 연결망의 핵심이 王維였다면, 안사의 난 이후의 연결망에서는 주인공이 杜甫로 바뀌었다. 이런 사실은 中唐 이후로 두보의 시에 대한 평가가 계속 상승한 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dc.languageKorean-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중국학회-
dc.title唐代 시인의 사회 연결망 분석 (1) - 社交詩에 대한 빅데이터와 인포그래픽 기반의 접근-
dc.title.alternativeThe Analysis of Social Networks of T'ang Dynasty's Poets: An Approach to Their Social Poems on the Basis of Big Data and Infographics-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준연-
dc.identifier.doi10.35982/jcs.82.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중국학보, no.82, pp.163 - 193-
dc.relation.isPartOf중국학보-
dc.citation.title중국학보-
dc.citation.number82-
dc.citation.startPage163-
dc.citation.endPage193-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287112-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전당시-
dc.subject.keywordAuthor사회 연결망-
dc.subject.keywordAuthor사교시-
dc.subject.keywordAuthor빅데이터-
dc.subject.keywordAuthor인포그래픽-
dc.subject.keywordAuthor초당-
dc.subject.keywordAuthor성당.-
dc.subject.keywordAuthorsocial poems-
dc.subject.keywordAuthorsocial network-
dc.subject.keywordAuthorbig data-
dc.subject.keywordAuthorinfographics-
dc.subject.keywordAuthorComplete Tang Poems-
dc.subject.keywordAuthorEarly Tang-
dc.subject.keywordAuthorHigh Tang-
dc.subject.keywordAuthorcentrality-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OON YOUN photo

KIM, JOON YOUN
문과대학 (중어중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