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삼국-통일신라시대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의 이해 - 기후진동에 대응한 사회 지속성의 메카니즘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희진-
dc.date.accessioned2021-12-20T21:41:04Z-
dc.date.available2021-12-20T21:41:04Z-
dc.date.created2021-08-31-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issn1225-195x-
dc.identifier.uri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2334-
dc.description.abstract삼국-통일신라시대는 한반도에서 본격적인 왕조국가가 시작되는 고도의 복합사회였으며, 환경변화는 보다 복합적인 방식으로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선행 환경관련 연구와 삼국사기의 기사기록의 재검토를 통하여 당시 환경변화의 정도를 가늠해 보았고, 상시적으로 있는 수년에서 수십 년 단위의 기후진동의 존재 가능성과 파급력에 주목하였다. 한편, 환경과 관련하여, 기온이 상승한 통일신라기에 오히려 농경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재난이 극심해지는 등 다소 모순된 양상이 보인다. 이 같은 현상을 이해하고 삼국-통일신라시대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고찰하기 위하여 환위계체계 적응순환이론의 적용을 시도하였다. 환경, 사회, 문화 체계에서의 통시적 적응 순환의 틀 안에서 삼국-통일신라시대의 변화를 살펴보고, 통일신라의 몰락과정에서 복원력의 작용을 살펴보았다. 4∼6세기 농경의 확대로 인해 이를 매개로 환경체계와 사회․문화적 체계 간의 연접이 점차 커졌으며, 이는 환경체계의 취약성과 복원력을 모두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통일신라시대의 경우, 통일과 함께 재편된 정치체계에서 농경활동에서 국가의 경제 및 정치적 개입이 강화되며 환경체계와의 연접을 한층 더 심화시켰다. 시간이 지날수록 환경은 장기간의 농경과 도시화로 인해 퇴화하고 정치․사회․경제 아체계가 재조합 과정에서 통일신라에 걸맞는 새로운 체계로 도약하지 못한 상태에서 복원력을 잃게 된다. 특히 농경을 통해 지나치게 환경이 사회와 연접되며 연이은 환경재난에 대한 사회의 취약성을 증가시켰다. 특히 삼국사기 기록상에서 8세기대의 환경재난은 주기적 기후진동의 패턴을 가지고 나타나지만 9세기대에는 그러한 경향이 보이지 않아 환경재난에 있어 기후적 요소 외 다른 인자의 영향을 짐작케 한다. 삼국과 통일신라시대의 대비를 통해 볼 때, 환경변화에 대한 사회의 취약성과 복원력은 일차적으로 환경체계가 각 사회, 문화 체제와 연관되는 관계에 따라 역동적으로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환경변화에 대한 사회의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를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위계체계적 구성으로 이해하고 복원력을 유지하도록 선제적으로 방재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경과 인간사회의 복합적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좋은 역사적 예시 중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dc.languageKorean-
dc.language.isoko-
dc.publisher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dc.title삼국-통일신라시대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의 이해 - 기후진동에 대응한 사회 지속성의 메카니즘-
dc.title.alternativeUnderstanding Human-Environment Interaction during the Three Kingdoms-Unified Silla periods: Mechanism of Sustainability of a Society against Climatic Oscillations-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희진-
dc.identifier.doi10.17790/kors.2017..60.23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학연구, no.60, pp.235 - 276-
dc.relation.isPartOf한국학연구-
dc.citation.title한국학연구-
dc.citation.number60-
dc.citation.startPage235-
dc.citation.endPage276-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213609-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삼국-통일신라시대-
dc.subject.keywordAuthor대리 자료-
dc.subject.keywordAuthor환경변화-
dc.subject.keywordAuthor환위계체계적 적응순환이론-
dc.subject.keywordAuthor복합적 상호작용-
dc.subject.keywordAuthorThree Kingdoms-Unified Silla Period-
dc.subject.keywordAuthorProxy Data-
dc.subject.keywordAuthorHuman-Environment Interaction-
dc.subject.keywordAuthorPanarchy Theory-
dc.subject.keywordAuthorResilience-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