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自挽詩의 특수 유형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임준철 | - |
dc.date.accessioned | 2021-12-25T06:40:28Z | - |
dc.date.available | 2021-12-25T06:40:28Z | - |
dc.date.issued | 2015 | - |
dc.identifier.issn | 1226-6388 | - |
dc.identifier.issn | 2765-3455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2907 | - |
dc.description.abstract | 이 글은 자만시의 특수유형 작품들을 학계에 소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자만시는 동아시아의 독특한 자전적 글쓰기 방식의 하나로 주제적 속성 자체가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변격의 문학주제인 자만시가 조선 후기에 이르면 또다른 일탈을 보이기 시작한다. 그것은 내용과 글쓰기 방식 모두에서 일어난다. 이를테면 변격의 변격이 발생한 것이다. 이 글은 이를 자만시의 특수 유형으로 규정하고 그 양상과 특성을 살펴 본 것이다. 내용의 특수성이란 측면에선 사후 두 번째 기일이란 특정 시공간에 자신의 죽음에 대한 상상력을 펼친 김조순, 자만시를 쓴 뒤 소생한 경험을 추가한 박치원, 의리라는 시대의식을 담은 이언직의 작품을 살펴보았다. 글쓰기의 특수성이란 측면에선 과체시 형식으로 자만시를 쓴 정기안, 두보의 작품에 덧붙여 써서 자만시를 완성한 석지형의 경우를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시인들은 자만시를다층적으로 인식했다. 그들은 자만시를단순히 임종 무렵에 남기는 마지막 말 정도로 인식했던 것이 아니라, 죽음을 맞이하기 전에자신을 표현하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잘 알고 있었다. 그런 측면에서 이 글에서 검토한 특수 유형 작품들은 자만시 양식의 자기 변화와 갱신의 양상으로서 특별히 주목될 필요가 있다 자만시라는 . 특정 주제에 국한된 것이긴 하나 문학사의 변화에 대한 미시적 검토는 차후 만시 등 죽음을 소재·주제로 한 문학에 대한 이해 폭을 확충하는 데에도 일정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 |
dc.format.extent | 33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민족어문학회 | - |
dc.title | 조선시대 自挽詩의 특수 유형 | - |
dc.title.alternative | Special Types of Self-elegy Poetry in Joseon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어문논집, no.74, pp 5 - 37 | - |
dc.citation.title | 어문논집 | - |
dc.citation.number | 74 | - |
dc.citation.startPage | 5 | - |
dc.citation.endPage | 37 | - |
dc.identifier.kciid | ART002028403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self-elegy poetry | - |
dc.subject.keywordAuthor | special type | - |
dc.subject.keywordAuthor | late Jose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Kim Jo-so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Park Chi-w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Li Eon-jik | - |
dc.subject.keywordAuthor | Jung Ki-an | - |
dc.subject.keywordAuthor | Seok Ji-hyung | - |
dc.subject.keywordAuthor | 자만시 | - |
dc.subject.keywordAuthor | 특수유형 | - |
dc.subject.keywordAuthor | 조선 후기 | - |
dc.subject.keywordAuthor | 金祖淳 | - |
dc.subject.keywordAuthor | 朴致遠 | - |
dc.subject.keywordAuthor | 李言直 | - |
dc.subject.keywordAuthor | 鄭基安 | - |
dc.subject.keywordAuthor | 石之珩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145 Anam-ro, Seongbuk-gu, Seoul, 02841, Korea+82-2-3290-2963
COPYRIGHT © 2021 Korea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