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고려청자의 중국 전래와 도자사적 영향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방병선-
dc.date.accessioned2021-12-30T22:40:16Z-
dc.date.available2021-12-30T22:40:16Z-
dc.date.created2021-08-31-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issn1226-6604-
dc.identifier.uri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3773-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의 주제는 고려시대 중국에서 출토되거나 전세된 고려청자의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중국인들이 고려청자에 대해 언급한 문헌자료를 검토하고 중국 청자에 나타난 고려청자의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고려시대 중국과의 도자교류가 상호 양방향으로 이루어졌음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중국 출토 고려청자는 중국 남북방 전역의 유적에서 12-14세기 고려청자가 발견된 상황을 발굴보고서와 공사 기록들을 통해 정리하였다. 특히 봉래와 항주, 그 인근을 중심으로 송대보다는 남송과 원대 유적에서 더 많은 비색청자와 상감청자편들이 발견되었다. 문헌기록으로는 북송대 서긍의 『선화봉사고려도경』이나 남송의 『수중금』은 고려청자에 대한 기술과 평가에서 다른 것을 인정하거나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원명대 이후 문헌에서 평가의 내용이 바뀌긴 했어도 원대 황제에게 금채청자가 상납될 정도로 중국 상류층 사이에서 고려청자의 위치는 상당한 고급품 혹은 사치품으로 인식되었음을 상기하였다. 중국청자에 미친 영향으로는 도자의 기술과 장식에서 여요의 비색인 청록색 유약을 예로 들었다. 여요의 유색은 중국 청자 유약 변천의 과정에서 설명하기 어려운 반면 『선화봉사고려도경』의 기록과 고려 비색청자의 유색 형성이 선행한 점을 들어 그 영향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남송과 원대 유적지에서 많이 발견되는 고려상감청자의 상감 기법은 원대 용천요 청자묘지명 한 점의 예만 남아있어 영향 관계를 논하기 어려웠다. 결론적으로 중국 월주요에서 파생된 청자 제작기법과 장식은 중국과 고려 양국의 청자 발전 과정에서 새롭게 탄생하여 양국 도자 교류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급증하는 중국내 고려청자 출토품과 문헌기록, 여요의 청록색 유색, 상감청자 기법의 시도 등은 양국의 도자 교류가 다양하고 복잡하며 일방통행이 아닌 상호교류적인 성격임을 제시하였다.-
dc.languageKorean-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불교미술사학회-
dc.title고려청자의 중국 전래와 도자사적 영향-
dc.title.alternativeIntroduction of Koryo Celadons into China and its Influence-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방병선-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강좌미술사, no.40, pp.13 - 38-
dc.relation.isPartOf강좌미술사-
dc.citation.title강좌미술사-
dc.citation.number40-
dc.citation.startPage13-
dc.citation.endPage38-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1775002-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중국청자-
dc.subject.keywordAuthor고려청자-
dc.subject.keywordAuthor도자교류-
dc.subject.keywordAuthor상감청자-
dc.subject.keywordAuthor비색청자-
dc.subject.keywordAuthor여요-
dc.subject.keywordAuthor월주요-
dc.subject.keywordAuthor고려도경-
dc.subject.keywordAuthor(Chinese celadon)-
dc.subject.keywordAuthor(Koryo celadon)-
dc.subject.keywordAuthor(Ceramic exchange)-
dc.subject.keywordAuthor(Inlay celadon)-
dc.subject.keywordAuthor(Jade-green celadon)-
dc.subject.keywordAuthor(Ru kiln)-
dc.subject.keywordAuthor(Yue kiln)-
dc.subject.keywordAuthor(Gaoritujing)-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Bang, Byung Sun photo

Bang, Byung Sun
고고미술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