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文科 敎育에서의 텍스트의 水準과 範圍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윤재민 | - |
dc.date.accessioned | 2022-01-04T12:40:33Z | - |
dc.date.available | 2022-01-04T12:40:33Z | - |
dc.date.issued | 2011 | - |
dc.identifier.issn | 1225-1321 | - |
dc.identifier.issn | 2765-5067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4364 | - |
dc.description.abstract | 漢文科 敎育에서 텍스트의 水準과 範圍 문제는 그 동안 한문교육 연구자라면 누구나 다 어느 정도 그 중요성에 대해 의식해 본 적이 있었을 문제이다. 무엇보다도 먼저 교과서 집필자들이 집필 초기부터 그 마무리에 이르기까지 가장 많이 고민했을 문제도 바로 이 문제일 것이다. 그러나 정작 漢文科 敎育에서 텍스트의 水準과 範圍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그 동안 별로 없었다. 漢文科 敎育에서 텍스트의 水準과 範圍 문제는 크게 두 가지 분야에서 연구될 필요가 있다. 하나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敎育課程 분야이고 다른 하나는 실천적인 측면에서 교과서 편찬 분야이다. 교육과정 분야에서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 문제는 領域, 敎育 內容 要素, 學習 要素의 각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다뤄져야 할 문제이다. 곧 한문 교육의 목표로부터 영역을 어떻게 도출할 것인가? 각 영역별로 교육 내용 요소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내용 요소를 구성하는 하위 내용 요소, 곧 학습 요소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그것을 學校 級別 및 學年別 水準別로 어떻게 系列化․位階化할 것인가?교과서 편찬 분야에서 텍스트의 水準과 範圍 문제는 漢字, 語彙, 漢文 短文, 漢文 散文, 漢詩의 각 차원에서 각기 구체적으로 다뤄져야 할 문제이다. 곧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영역, 내용 요소, 학습 요소를 漢字, 語彙, 漢文 短文, 漢文 散文, 漢詩로 이루어지는 교과서 題材로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이 과정에서 漢字, 語彙, 漢文 短文, 漢文 散文, 漢詩의 수준과 범위를 구체적인 목록으로서 제공하는 것이 과연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그것을 어떻게 작성할 것인가?어떤 경우든 쉬운 문제는 하나도 없다. 완벽한 대안도 있을 수 없다. 모쪼록 이번 학술대회가 漢文科 敎育에서 텍스트의 水準과 範圍 문제에 대한 건설적인 결과물 마련을 위한 礎石이 되길 바란다. | - |
dc.format.extent | 16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한문교육학회 | - |
dc.title | 漢文科 敎育에서의 텍스트의 水準과 範圍 | - |
dc.title.alternative | The level and range of texts i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doi | 10.17963/ccek.2011..36.5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漢文敎育硏究, no.36, pp 5 - 20 | - |
dc.citation.title | 漢文敎育硏究 | - |
dc.citation.number | 36 | - |
dc.citation.startPage | 5 | - |
dc.citation.endPage | 20 | - |
dc.identifier.kciid | ART001563104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Curriculum | - |
dc.subject.keywordAuthor | text | - |
dc.subject.keywordAuthor | level | - |
dc.subject.keywordAuthor | range | - |
dc.subject.keywordAuthor | scope | - |
dc.subject.keywordAuthor | content elements | - |
dc.subject.keywordAuthor | learning elements | - |
dc.subject.keywordAuthor | 漢文敎育 | - |
dc.subject.keywordAuthor | 敎育課程 | - |
dc.subject.keywordAuthor | 텍스트 | - |
dc.subject.keywordAuthor | 水準 | - |
dc.subject.keywordAuthor | 範圍 | - |
dc.subject.keywordAuthor | 領域 | - |
dc.subject.keywordAuthor | 內容 要素 | - |
dc.subject.keywordAuthor | 學習 要素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145 Anam-ro, Seongbuk-gu, Seoul, 02841, Korea+82-2-3290-2963
COPYRIGHT © 2021 Korea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