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실도(行實圖)류의 역주 방법론 연구Studying the Methodology for Translating and Annotating the Kinds of Haengsildo(行實圖)
- Other Titles
- Studying the Methodology for Translating and Annotating the Kinds of Haengsildo(行實圖)
- Authors
- 김유범
- Issue Date
- 2011
- Publisher
- 국어사학회
- Keywords
- 행실도류; 삼강행실도; 속삼강행실도; 이륜행실도;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 역주; the kinds of Haengsildo(行實圖);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東國新續三綱行實圖); Oryunhaengsildo(五倫行實圖); translation and annotation; Samganghaengsildo(三綱行實圖); Sok-Samganghaengsildo(續三綱行實圖); Iryunhaengsildo(二倫行實圖)
- Citation
- 국어사연구, no.12, pp.23 - 48
- Indexed
- KCI
OTHER
- Journal Title
- 국어사연구
- Number
- 12
- Start Page
- 23
- End Page
- 48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4435
- ISSN
- 1738-477X
- Abstract
- 본고는 국어사 문헌자료 중 행실도류 자료들을 대상으로 이 자료들에 대한 역주가 어떻게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행실도류 문헌자료들이 지닌 특징을 살펴보고, 이제까지 진행된 행실도류관련 역주 작업들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새로운 역주 방법론을 찾아보았다. 역주 방법론의 원칙으로 ⓐ 서문의 번역과 해제 싣기, ⓑ 그림의 기능과효용성 살리기, ⓒ 문법적 주해의 일관성 유지하기, ⓓ 현대역의 현대화 정도결정하기를 제시했다. 또한 이를 참조해 ① 그림[도판], ② 현대어역(의역), ③언해문 사진, ④ 활자화된 언해문, ⑤ 직역된 언해문, ⑥ 한문 원문 및 시찬,⑦ 주석 순으로 된 역주 체재를 세우고 이에 따라 『三綱行實圖』 효자도의 이야기 하나를 대상으로 역주의 실제를 구현해 보았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