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감옥 소재 희곡의 공간 의미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창수-
dc.date.accessioned2022-01-06T12:41:32Z-
dc.date.available2022-01-06T12:41:32Z-
dc.date.created2021-08-31-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issn1227-0962-
dc.identifier.uri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4603-
dc.description.abstract감옥 소재의 희곡에는 기본적으로 감옥의 특수한 폐쇄 공간에서 생활하는 수형자들의 일상이 녹아 있다. 일반적으로 감옥의 물질적 공간이 무대로 구체화되었을 때, 매우빈약한 무대임에도 문제적인 공간이 될 수 있는 이유는 감옥과 수형자라는 독특한 상황과존재 때문이다. 이런 관점을 근거로 감옥 공간의 의미를 밝혀보려 하였다. 감옥 공간에서하위공간의 기준으로 수직성, 수평성, 구속성을 들 수 있다. 이현화의 「라마 사박다니」, 장정일의 「어머니」, 고연옥의 「인류 최초의 키스」에서 감옥 공간은 주종관계로 이루어진 수직성에 기초하고 있다. 감옥 공간은 감옥 바깥 공간의 지배를 받는다. 드라마 공간은 그들을 감독하는 권력의 앞잡이, 엘리트 계층, 법과 지식의 권력자들이다. 감옥 공간의 수형자들은 죄에 대한 대가를 치르고 있음에도 피지배자의 입장에 있으며 끊임없이 감옥 바깥 공간에 의해 구타와 폭력 등에 무방비 상태로 당하고 마는 무력한 서민들이다. 최인석의 「벽과창」과 장진의 「허탕」에서 감옥 공간은 수평성에 기초하여 감옥 바깥 공간과 뚜렷한 경계의차이를 보여준다. 수평성의 감옥 공간은 바깥 사회와 달리 생활이 부재하여 희망이 없는 공간이고 수형자의 의식을 마비시키고 감옥 공간에 안주시키려는, 코드화된 공간이다. 관계의 종속 구조에 따른 권력의 작용보다는 수헝자 주체의 심리나 의지가 중요하게 다뤄진다. 감옥 소재의 희곡들은 모두 구속성에 기초하여 탈옥 모티브를 지니고 있다. 탈옥은 수형자주체가 감옥 공간과 감옥 바깥 공간을 문제 삼아 감옥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횡단과 도주다. 그 횡단과 도주는 공간에의 신체적 구속을 전제로 한다. 구속성은 죄에 대한 형벌로 죄인의신체를 폐쇄 공간에 격리시켜 가두는 강제적인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감옥 공간의 구속성은 감옥 바깥 공간의 자유성과 대립한다. 이와 유사하게 강제성/ 타율성과 자율성이 대립한다. 「벽과 창」의 19와 「허탕」의 장덕배가 도주하려는 자이지만 결국 포기하거나 감행하지 못한다. 「어머니」와 「인류 최초의 키스」에서는 도주의 방식이 다르게 나타난다. 「라마사박다니」와 「어머니」에서는 각각 허구적 상상과 환몽장치가 도주의 방식을 제공한다. 허구적 상상이나 환몽 세계로의 진입은 감옥의 경계를 넘어 이상적인 세계로 탈출하고 도주한 것이다. 「라마 사박다니」와 「인류 최초의 키스」에서는 도주의 방식이 죽음 또는 무의식과 관념에 의한 종교적 초월의 방식으로 제시된다. 수형자 주체는 환몽을 꿈꾸거나 죽음이나 허구적 상상을 통해서만 감옥을 도주할 수 있다. 여기에 탈옥의 한계와 특성이 있다.-
dc.languageKorean-
dc.language.isoko-
dc.title감옥 소재 희곡의 공간 의미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Study on the Space Meaning about Prison Plays-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홍창수-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민족문학사연구, no.44, pp.480 - 512-
dc.relation.isPartOf민족문학사연구-
dc.citation.title민족문학사연구-
dc.citation.number44-
dc.citation.startPage480-
dc.citation.endPage512-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1507279-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감옥-
dc.subject.keywordAuthor감옥 희곡-
dc.subject.keywordAuthor폭력-
dc.subject.keywordAuthor규율-
dc.subject.keywordAuthor탈옥-
dc.subject.keywordAuthor도주-
dc.subject.keywordAuthor공간의 수직성-
dc.subject.keywordAuthor공간의 수평성-
dc.subject.keywordAuthor공간의 구속성-
dc.subject.keywordAuthorPrison-
dc.subject.keywordAuthorPrison Play-
dc.subject.keywordAuthorViolence-
dc.subject.keywordAuthorDiscipline-
dc.subject.keywordAuthorPrisonbreak-
dc.subject.keywordAuthorFugitiveness-
dc.subject.keywordAuthorVerticality of Space-
dc.subject.keywordAuthorHorizontality of Space-
dc.subject.keywordAuthorPhysical restraint.-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ulture and Sports > Creative Writing and Media Studies in Division of Culture Creativit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ONG, Chang soo photo

HONG, Chang soo
문화스포츠대학 (문화창의학부 미디어문예창작전공)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