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漢文 텍스트의 중학교 교과서 수용 범위와 수준 -短文, 散文, 漢詩를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재민-
dc.date.accessioned2022-01-08T17:41:06Z-
dc.date.available2022-01-08T17:41:06Z-
dc.date.created2021-08-31-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issn1225-1321-
dc.identifier.uri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4934-
dc.description.abstract교과서 편찬에서 핵심이 되는 사항은 本文 題材의 선정 문제이다. 교과서의 本文 題材는 해당 교과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얼굴이며,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학습 활동 또한 대개는 바로 이 본문 제재와 관련해서 이루어진다. 이 논문은 2007년 개정 漢文 科目 敎育課程과 이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한문 과목 교육과정 解說書에 의거하여 중학교 한문 교과서 短文, 散文, 漢詩 제재의 수용 범위와 수준을 분석한 것이다. ‘漢文 短文’은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문교육상의 필요를 반영하여 새롭게 제시한 인위적인 텍스트 범주이다. ‘短文’이란 용어 자체는 이전의 교육과정에서도 사용된바 있다. 단문 범주에 포함될 제재들 또한 이전 교육과정의 교과서들에서 익히 보아 왔던 것이다. 그러나 단문의 개념을 ‘하나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짧은 글’로 규정한 것은 이번 개정 교육과정이 처음이다. ‘漢文 散文’과 ‘漢詩’ 또한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문교육상의 필요를 반영하여 새롭게 제시한 인위적인 텍스트 범주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에서 ‘韻文과 상대되는 문장’으로 ‘산문’ 범주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에서부터 ‘산문’ 범주를 제시하고, 그 개념 또한 ‘漢詩와 상대되는 글’로 규정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기존 중학교 한문 교과서 本文 題材의 일반적 형태는 語彙(漢字, 漢字語, 成語 포함)와 文章(短文, 散文, 漢詩 포함)의 두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새 한문 교과서 本文 題材의 일반적 형태 또한 여기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단,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가 상대적으로 어휘의 비중이 컸다고 한다면,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는 문장의 비중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dc.languageKorean-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한문교육학회-
dc.title漢文 텍스트의 중학교 교과서 수용 범위와 수준 -短文, 散文, 漢詩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The acceptance scope and level of Chinese writing text in a junior high school textbook -Mostly referring to short sentences, prose and Chinese poems--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윤재민-
dc.identifier.doi10.17963/ccek.2008..31.1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漢文敎育硏究, no.31, pp.19 - 33-
dc.relation.isPartOf漢文敎育硏究-
dc.citation.title漢文敎育硏究-
dc.citation.number31-
dc.citation.startPage19-
dc.citation.endPage33-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1305819-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Junior high school Chinese writing textbook-
dc.subject.keywordAuthorChinese writing text-
dc.subject.keywordAuthorChinese writing short sentence-
dc.subject.keywordAuthorChinese writing prose-
dc.subject.keywordAuthorChinese poems-
dc.subject.keywordAuthor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dc.subject.keywordAuthorCurriculum-
dc.subject.keywordAuthorThe 7th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dc.subject.keywordAuthor중학교 漢文 교과서-
dc.subject.keywordAuthor漢文 텍스트-
dc.subject.keywordAuthor漢文 短文-
dc.subject.keywordAuthor漢文 散文-
dc.subject.keywordAuthor漢詩-
dc.subject.keywordAuthor漢文敎育-
dc.subject.keywordAuthor敎育課程-
dc.subject.keywordAuthor제7차 漢文科 敎育課程-
dc.subject.keywordAuthorJunior high school Chinese writing textbook-
dc.subject.keywordAuthorChinese writing text-
dc.subject.keywordAuthorChinese writing short sentence-
dc.subject.keywordAuthorChinese writing prose-
dc.subject.keywordAuthorChinese poems-
dc.subject.keywordAuthor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dc.subject.keywordAuthorCurriculum-
dc.subject.keywordAuthorThe 7th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