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교육의 측면에서 본 자만시의 가치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임준철 | - |
dc.date.accessioned | 2022-03-09T16:42:13Z | - |
dc.date.available | 2022-03-09T16:42:13Z | - |
dc.date.issued | 2021 | - |
dc.identifier.issn | 1598-1363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8367 | - |
dc.description.abstract | 이 글은 自挽詩를 현대 죽음학과 죽음 교육의 시각에서 새롭게 조명하여 그 가치를 탐색한 것이다. 자만시는 동아시아 사회의 전통적 죽음 인식 일반과는 변별되는 글쓰기지만, 자신의 죽음을 정면으로 문제 삼은 사례라는 점에서 오늘날의 죽음교육에도 시사하는 점이 많다.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Elizabeth Kübler-Ross)가 말한 죽음 수용 단계들을 기반으로 자만시를살펴보면, 자만시는 대체로 죽음 수용의 마지막 단계에서 지어지며, 의연히 죽음을 수용하려는 의식을 보여주거나, 죽음을 부모 및 조상과의 만남으로 받아들이는 의식이 많이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자신의 상장례에 대한 구체적 실행 방식의 제시는 남은 이들을 배려하는 자세로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퀴블러 로스가 제기한 ‘사후생’의 문제는 동아시아 고유의 영혼관과는 차이가 있지만, 자만시에선 ‘三不朽’와 같이 또 다른 관점에서 존재의 영원성을 고민했으며, 드물게 근사체험에 가까운 내용이 담기기도 했다. 이는 자신의 ‘소망 투사’(wishful thinking)라고도 볼 수 있지만 현대인의 죽음 터부를 깨는 데도 활용할 여지가 충분하다. 자만시를 활용한 죽음교육은 기존의 유언장 써보기와도 유사하지만 자만시 쓰기가 좀 더 자신의죽음에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유언장의 내용이 대개 자신의 신변을 정리하고 가족과 주변인들에게 남기는 말로 구성되는 반면, 자만시는 나의 죽음 자체에 좀 더 집중하여 죽음을 통한 ‘마지막 성장’이란 덕목에 좀 더 충실한 과정이 될 수 있다. 자만시는 관성적 죽음인식을 벗어나 있거나 전혀 다른 시각에서 죽음을 조명한다는 점에서 죽음교육 자료로서 활용 가치가 높다. 현대인들의 죽음에 대한 지나친 두려움을 걷어내기 위한 교육 자료로서 자만시는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 |
dc.format.extent | 29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 - |
dc.title | 죽음교육의 측면에서 본 자만시의 가치 | - |
dc.title.alternative | Self-elegy as a Material for Death Education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漢字漢文敎育, v.1, no.51, pp 251 - 279 | - |
dc.citation.title | 漢字漢文敎育 | - |
dc.citation.volume | 1 | - |
dc.citation.number | 51 | - |
dc.citation.startPage | 251 | - |
dc.citation.endPage | 279 | - |
dc.identifier.kciid | ART002782658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죽음학 | - |
dc.subject.keywordAuthor | 죽음교육 | - |
dc.subject.keywordAuthor | 자만시 | - |
dc.subject.keywordAuthor | 가치 | - |
dc.subject.keywordAuthor | 죽음교육 자료 | - |
dc.subject.keywordAuthor | Thanatology | - |
dc.subject.keywordAuthor | Death educat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Self-elegy | - |
dc.subject.keywordAuthor | Value | - |
dc.subject.keywordAuthor | Material for the death education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145 Anam-ro, Seongbuk-gu, Seoul, 02841, Korea+82-2-3290-2963
COPYRIGHT © 2021 Korea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