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요소 도출-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석영선-
dc.contributor.author송기환-
dc.contributor.author한효주-
dc.contributor.author이정아-
dc.date.accessioned2022-04-13T04:42:45Z-
dc.date.available2022-04-13T04:42:45Z-
dc.date.created2022-04-12-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issn1225-1755-
dc.identifier.uri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40205-
dc.description.abstract그린인프라 계획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대표적인 조경 계획 방안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 시 활용될 수 있는 요소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도출하고자 하였다. 미세먼지 저감계획, 그린인프라 계획 요소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관련 선행연구, 정책보고서 및 법률 등을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단어 빈도-역 문서 빈도(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이하 TF-IDF) 분석, 중심성 분석, 연관어 분석,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TF-IDF 분석을 통해 미세먼지 및 그린인프라와 관련된 주요 주제어는 크게 환경문제(미세먼지, 환경, 탄소, 대기 등), 대상 공간(도시, 공원, 지역, 녹지 등), 그리고 적용 방법(분석, 계획, 평가, 개발, 생태적 측면, 정책적 관리, 기술, 리질리언스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중심성 분석 결과, TF-IDF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주요 키워드들을 연결하는 중심단어는 ‘그린뉴딜’, ‘유휴부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연관어 분석 결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 시, 숲과 바람길의 계획이 필요하며, 미기후 조절의 측면에서 수분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유휴공간의 활용 및 혼효림의 조성, 미세먼지 저감 기술의 도입과 시스템의 이해가 그린인프라 계획 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 그린인프라의 계획요소를 생태적・기술적・사회적 기능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생태적 기능의 계획요소는 그린인프라의 형태적 부분(도시림, 녹지, 벽면녹화 등)과 기능적 부분(기후 조절, 탄소저장 및 흡수, 야생동물의 서식처와 생물 다양성 제공 등), 기술적 기능의 계획요소는 그린인프라의 방재 기능, 완충 효과, 우수관리 및 수질정화, 에너지 저감 등, 사회적 기능의 계획요소는 지역사회 커뮤니티 기능, 이용객의 건강성 회복, 경관 향상 등의 기능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 시 리질리언스 및 지속가능성과 같은 개념적 키워드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며, 특히, 미세먼지 노출 저감의 측면에서 그린인프라 계획요소의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dc.languageKorean-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조경학회-
dc.title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요소 도출-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
dc.title.alternativeDeriv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Factors for Reducing Particulate Matter - Using Text Mining --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정아-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조경학회지, v.49, no.5, pp.79 - 96-
dc.relation.isPartOf한국조경학회지-
dc.citation.title한국조경학회지-
dc.citation.volume49-
dc.citation.number5-
dc.citation.startPage79-
dc.citation.endPage96-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772497-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Big Data-
dc.subject.keywordAuthorEcosystem Service-
dc.subject.keywordAuthorEnvironmental Disaster-
dc.subject.keywordAuthorGreen New Deal-
dc.subject.keywordAuthorSocial Disaster-
dc.subject.keywordAuthor그린뉴딜-
dc.subject.keywordAuthor빅데이터-
dc.subject.keywordAuthor사회재난-
dc.subject.keywordAuthor생태계 서비스-
dc.subject.keywordAuthor환경재난-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Jung a photo

Lee, Jung a
생명과학대학 (환경생태공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