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년의 글쓰기: 정한숙의 시와 수필 창작의 의미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종훈 | - |
dc.date.accessioned | 2022-12-10T09:41:19Z | - |
dc.date.available | 2022-12-10T09:41:19Z | - |
dc.date.issued | 2022 | - |
dc.identifier.issn | 1226-6388 | - |
dc.identifier.issn | 2765-3455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46731 | - |
dc.description.abstract | 이 연구는 정한숙이 말년에 발간한 시집과 수필집을 검토하여 소설가의 임무를 벗어난 곳에서 파악할 수 있는 작가의 인식 체계를 헤아리려 했다. 시와 수필에 처음부터 줄곧 등장하는 고향은 그에게 현실의 고난을 극복하게 하는 동력이었다. 그는 다시 돌아갈 수 없는 공간을 다시 돌아갈 수 없는 시간으로 치환하여, 실향을 일반적인 체험으로 만든다. 실향에서 비롯되는 죄의식은 체험의 일반화 과정을 거쳐 남한 사회의 일원으로서의 정당성을 확보하며 누그러진다. 한편 ‘고향’이 개별성의 기원이라고 한다면 ‘얼굴’은 개별성의 현재라고 할 수 있다. ‘얼굴’은 진술의 현재 타인과 변별되는 주체의 특성을 드러내는 반면 과거와 접속하는 경우 정한숙의 시에서는 어머니의 얼굴을 떠올리게 했다. 또한 그것은 죽음 의식을 거느린 ‘그림자’와 육신의 반대편 뜻을 지닌 ‘영혼’을 호명하게 했는데, 그 까닭을 살펴보면 오히려 ‘육신’의 편에 서기 위해서였다. 육신의 일회성을 믿으며 이 세계에서의 존재 가치에 주목하는 것이 정한숙 시의 전반적인 인식 체계라 할 수 있다. 정한숙이 남긴 말년의 글쓰기는 예술보다 더 큰 전인간의 면모를 완성하려는 고투의 흔적이었다. | - |
dc.format.extent | 22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민족어문학회 | - |
dc.title | 말년의 글쓰기: 정한숙의 시와 수필 창작의 의미 | - |
dc.title.alternative | Writing in his later years: Jung Han-Sook’s poems and essays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doi | 10.33335/KLL.95.3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어문논집, no.95, pp 71 - 92 | - |
dc.citation.title | 어문논집 | - |
dc.citation.number | 95 | - |
dc.citation.startPage | 71 | - |
dc.citation.endPage | 92 | - |
dc.identifier.kciid | ART002876602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poetry | - |
dc.subject.keywordAuthor | essay | - |
dc.subject.keywordAuthor | individuality | - |
dc.subject.keywordAuthor | hometown | - |
dc.subject.keywordAuthor | face | - |
dc.subject.keywordAuthor | shadow | - |
dc.subject.keywordAuthor | soul | - |
dc.subject.keywordAuthor | 정한숙 | - |
dc.subject.keywordAuthor | 시 | - |
dc.subject.keywordAuthor | 수필 | - |
dc.subject.keywordAuthor | 개별성 | - |
dc.subject.keywordAuthor | 고향 | - |
dc.subject.keywordAuthor | 얼굴 | - |
dc.subject.keywordAuthor | 그림자 | - |
dc.subject.keywordAuthor | 영혼 | - |
dc.subject.keywordAuthor | Jung Han-Sook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145 Anam-ro, Seongbuk-gu, Seoul, 02841, Korea+82-2-3290-2963
COPYRIGHT © 2021 Korea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