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茶山의 세계世系와 지친至親들Descendants and Close Relatives of Tasan Cheong Yagyong
- Other Titles
- Descendants and Close Relatives of Tasan Cheong Yagyong
- Authors
- 김언종
- Issue Date
- 2012
- Keywords
- 다산; 정약용; 세계世系; 지친至親; 정재원; 정약현; 정약전; 정약종; 정약횡; 정학연; 정학유.; Tasan; Cheong Yagyong; descendants; Cheong Jaewon; Cheong Yakhyeon; Cheong Yakjeon; Cheong Yakjong; Cheong Yakheong; Cheong Hakyeon; Cheong Hagyu.
- Citation
- 다산학, no.21, pp 211 - 244
- Pages
- 34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다산학
- Number
- 21
- Start Page
- 211
- End Page
- 244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86027
- ISSN
- 1598-8856
- Abstract
- 다산의 경세치용經世致用 학문과 공적 차원 이력은 여전히 미진한 부분이 있고 또 심화 탐색이 요구되지만 그간 학계의 연구가 상당히 진척 집적되어 이제 새 전기를 이루기 위한 정리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다산 삶의 사적 영역 즉 다산의 일상의식에서 비중이 컸을 가정의 상황인 가계의식家系意識과 가족관계에 대한 조명은 아직 상응한 진척이 이행되지 못하고 있어 보인다. 이제 다산 삶의 한 실체이며 그에게 끊임없이 핍진한 영향을 주었을 가계의식과 가족의 삶이 어떠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본고에서 다룰 다산의 가정 상황은 가계의식과 다산 당대 가족의 삶이다. 전자는 중세 사회에서 가족의 연대에 기여하고 정체성 공유에서 핵심이었으며 개인의 성취에도 관련되는 사회 차원 자긍自矜의 원천이었다. 다산의 조부 이래 다산의 가정은 상계 가계 문제로 심각한 고민과 갈등이 있었으며 마침내 오히려 오늘날에 더욱 주목할 만한 결단이 있었다. 후자에서 먼저 부각시켜야 할 것은 다산이 거의 모든 당대 가족의 삶을 기록으로 남겼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기록을 누구에게나 요구할 수 없고 또 그 유무로 인격을 평가할 수도 없지만 다산의 이러한 면모는 다산의 삶과 지향의 고찰에서 기록 자체 이상으로 한 번 음미해볼만한 문제일 것이다. 다산 자신이 더 잘 알고 있었듯이 드러나지 않았고 평가할 수도 없는 일부 가족의 삶까지도 기록한 것은 가치관의 행위화로 여겨지며 다산의 생애 전체 파악을 위해 한 번 조명하여야 할 부분일 것이다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고에서는 다산의 세계 다산의 지친들아버지 정재원 맏형 정약현 둘째 형 정약전 셋째 형 정약종 서제 정약횡 다산의 자식들장남 정학연 차남 정학유 딸 나주 정씨에 대해서 검토해 보았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