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文科 文學敎育 硏究의 動向과 課題The trend and task of Chinese Character Literature Education
- Other Titles
- The trend and task of Chinese Character Literature Education
- Authors
- 김연수; 김언종
- Issue Date
- 2011
- Publisher
- 한국한문교육학회
- Keywords
- 한문과 문학교육; 연구 동향; 한시 교육; 한문산문 교육; 한문소설 교육; Chinese Character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es Trend; Chinese poem education; Chinese character prose education; Chinese character novel education; Chinese Character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es Trend; Chinese poem education; Chinese character prose education; Chinese character novel education
- Citation
- 漢文敎育硏究, no.37, pp 351 - 390
- Pages
- 40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漢文敎育硏究
- Number
- 37
- Start Page
- 351
- End Page
- 390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86519
- DOI
- 10.17963/ccek.2011..37.351
- ISSN
- 1225-1321
2765-5067
- Abstract
- 본고는 漢文敎育學의 여러 분야 중에서 漢文科 文學敎育 방면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대상은 韓國漢文敎育學會에서 발간하는 『漢文敎育硏究』와 漢字漢文敎育學會가 발간하는 『漢字漢文敎育』에 수록된 文學敎育 관련 학술 논문이다. 한문과에서의 문학교육과 관련된 일련의 논문들은 문학교육에 대한 초기 연구라는 한계점으로 문학교육에 관한 체계적인 이론과 논리를 세우지는 못했으나, 한문과 문학교육에서 쟁점이 될 만한 여러 문제들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한문과에서 문학 작품 분류의 기준, 『漢文』 교과서의 단원 구성과 제재 수록 방식, 한문산문의 개념 및 범주에 관한 정리의 필요성 등과 같은 여러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고, 그런 일련의 과정 속에서 한문과에서 문학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할 수 있었다.
한문과에서 문학교육 연구는 이제 시작 단계이므로 앞으로 한문과 문학교육 연구가 탄탄한 토대 위에 체계화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 반드시 선결되어야 할 과제를 다섯 가지로 제기하였다. 한문과 문학교육의 개념, 한문과에서 ‘문학’이라 할 수 있는 기준의 설정, 한문과 문학교육의 목표 설정, 학교 현장에서 문학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학습자의 토론과 활동 위주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모색, 마지막으로 『漢文』 교과서 한문 제재를 선정할 때 문학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고에서 제기한 한문과 문학교육의 선결 과제들이 앞으로 하나씩 해결되고 탄탄한 토대 위에 다양한 논의가 이어져, 한문과 교육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고 학교 현장의 한문 수업에 활력을 불어 넣는 계기로 작동하게 되기를 간절히 기대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