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대상의 결혼과 가족 교양강좌 효과 연구Effects of a Marriage and Family Life Course on the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 Other Titles
- Effects of a Marriage and Family Life Course on the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 Authors
- 임정하; 김경미; 정미연
- Issue Date
- Apr-2023
- Publisher
- 한국콘텐츠학회
- Keywords
- Attitude toward Marriage; Family Life Course; Population Education; College Students; Liberal Arts Education; 결혼관; 가족생활; 인구교육; 대학생; 교양강좌
- Citatio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23, no.4, pp 427 - 437
- Pages
- 11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Volume
- 23
- Number
- 4
- Start Page
- 427
- End Page
- 437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90506
- DOI
- 10.5392/JKCA.2023.23.04.427
- ISSN
- 1598-4877
2508-6723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결혼과 가족생활의 이해 및 준비를 위한 교양강좌를 개발한 후, 강좌운영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위치한 두 곳의 4년제 대학교에서 결혼과 가족에 대한 교양강좌를 운영하였다.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강좌 시작 전과 후에 결혼관에 대한 구조화된 질문검사를 실시하여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 의구심과 두려움, 부정적 태도를 평가하고, 수강 후 결혼 및 가족 생활에 대한 견해를 포함한 개방형 질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강좌 시작 전과 후 두 번의 질문검사에 모두 응답한 학생 16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SPSS 25.0을 이용해 기술통계치를 산출하고, 혼합 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 학기동안 본 교양강좌 수강 후, 수강 전에 비해 남녀 대학생들 모두 결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유의하게 높아졌다. 여자대학생들의 경우, 결혼에 대한 의구심 및 두려움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다만, 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남녀대학생들 모두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 아울러, 본 강좌를 수강한 대학생들은 결혼과 가족생활에 대해 막연하고 모호했던 생각이 수업을 통해 구체화됨에 따라 미래의 결혼과 가족생활에 대한 자신감과 기대가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진입기에 해당하는 대학생들에게 교양강좌를 통해 결혼과 가족생활에 대해 보다 현실적 이해를 도모하고 관련 영역의 기술 및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결혼과 가족 생활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인구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처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