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분할함수 성장모형으로 살펴본 초기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의 발달 및 시점별 학교생활 적응 효과Piecewise Growth Modeling of Early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and the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Other Titles
Piecewise Growth Modeling of Early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and the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Authors
안소영신현우이청아홍세희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조사연구학회
Keywords
공동체 의식; 학교생활 적응; 분할함수 성장모형; 시간의존 변수; 지연효과; sense of community; school adjustment; piecewise growth model; time-varying covariate; lagged effects
Citation
조사연구, v.21, no.2, pp.89 - 116
Journal Title
조사연구
Volume
21
Number
2
Start Page
89
End Page
116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59554
ISSN
1229-9219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기의 공동체 의식의 변화 양상이 학교급별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 학교생활 적응의 하위 요인인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습활동, 학교규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동시효과와 지연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의 ‘초4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3학년까지의공동체 의식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잠재성장모형의 확장 형태인 분할함수 성장모형을 적용하였으며, 통제변수도 함께 포함하여 학교생활 적응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시기의 공동체 의식은 약간 감소하는 형태로 나타났지만 중학교 시기에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학교급에 따라 변화 양상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학교생활 적응이 각 시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 적응의 네 하위 요인 모두 동일 시점의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연효과의 경우, 다른 시기에 비해 초등학교 6학년의 학교생활 적응이 중학교 1학년 때의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다루어지지 않았던 분할함수 성장모형을 적용하여, 공동체 의식의 변화 양상이 학교급별로 동일하지 않은 점을 확인하였으며, 초등학교 시기의 학교생활 경험이 중학교 시기의 공동체 의식에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공동체 의식 교육방향과 교육환경 조성에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ong, Se hee photo

Hong, Se hee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