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학 교양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질문 중심 학습’-고려대학교 공통교양 <자유정의진리>를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양윤의-
dc.contributor.author조재룡-
dc.date.accessioned2021-08-31T17:15:42Z-
dc.date.available2021-08-31T17:15:42Z-
dc.date.created2021-06-17-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sn1976-3212-
dc.identifier.uri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59610-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학생이 제안한 ‘질문’을 중심으로 편성되는 교양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기 위하여작성되었다. 전공교육의 예비적 단계의 교육으로 간주되거나, 지식의 전수를 핵심으로 하는 재래의교양교육 모델을 벗어나 융합적, 창의적, 수행적인 교양교육의 모델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가 질문을 생성하고 토론을 진행하며 협력을 통해 결론에 이르는 질문 중심 학습에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의 실례를 공통교양교과인 &lt;자유정의진리&gt;의 교육과정에서 찾았다. 2018 년부터2020년까지 본 교과를 운영해본 결과, ‘질문’은 학생 스스로가 창의적으로 제기하는 문제 설정에 해당하며 이 질문이 다른 질문과 만나서 융합, 확산, 심화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학생의 질문은 1) 정보파악형 질문, 2) 비판적 질문, 3) 분석적 질문, 4) 확장형 질문, 5) 문제해결형 질문, 6) 창의적질문으로 유형화되는데, 이 질문들은 각각 1) 사실판단, 2) 가치판단, 3) 부분의 분석, 4) 전체의 종합, 5) 대상 지향, 6) 주체 지향을 향해 있으며, 문제의식이 심화되면서 1), 3), 5)에서 2), 4), 6)으로 확장, 이행된다. 질문 중심 학습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자유의지를 고양하고 신장시킨다. 질문을제기함으로써 학생은 수동적인 교육의 대상이 아니라, 능동적인 교육의 주체가 된다. 질문을 통해서학생 스스로 지식을 생산하는 주체가 되는 것이다. 둘째, 질문의 주체가 복수화되면서 학생은 필연적으로타자를 만나며, 이들과의 융합을 경험하게 된다. 여기서 윤리적 교양교육의 가능성이 배태된다. 토론은승패를 가리는 논쟁의 형식이 아니라, 타자와의 진정한 만남을 통해서 집단지성을 발휘하고 다양성을존중하며 협력을 배우는 윤리의 무대가 된다. 셋째, 학생은 타자의 입장을 배려하는 데서 나아가 그자신이 타자가 되며, 이로써 타자처럼 생각하고 느끼고 감각하는 ‘감각의 재분배’(자크 랑시에르)가일어난다. 타자가 되는 일이야말로 학습자가 개인, 계급, 젠더, 세대를 뛰어넘어 공동체를 복합적인‘나’로 감각하는 전환이다.-
dc.languageKorean-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교양교육학회-
dc.title대학 교양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질문 중심 학습’-고려대학교 공통교양 &lt;자유정의진리&gt;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Question-Based Learning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Focusing on Korea University&amp;apos;s Core General Course “Liberty Justice Truth”-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양윤의-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조재룡-
dc.identifier.doi10.46392/kjge.2020.14.5.17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교양교육연구, v.14, no.5, pp.175 - 187-
dc.relation.isPartOf교양교육연구-
dc.citation.title교양교육연구-
dc.citation.volume14-
dc.citation.number5-
dc.citation.startPage175-
dc.citation.endPage187-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644767-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질문 중심 학습-
dc.subject.keywordAuthor질문의 유형-
dc.subject.keywordAuthor학습자의 자유 의지-
dc.subject.keywordAuthor타자의 발견-
dc.subject.keywordAuthor타자가 되기-
dc.subject.keywordAuthor감각의 재분배(자크 랑시에르)-
dc.subject.keywordAuthor대학 교양교육의 정체성-
dc.subject.keywordAuthorquestion-based learning-
dc.subject.keywordAuthorcategory of question-
dc.subject.keywordAuthorlearner&apos-
dc.subject.keywordAuthors free will-
dc.subject.keywordAuthordiscovery of the other-
dc.subject.keywordAuthorbeing the other-
dc.subject.keywordAuthor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Jacques Ranciere)-
dc.subject.keywordAuthorthe identity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French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 Jae Ryong photo

CHO, Jae Ryong
문과대학 (불어불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