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국내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제도 분석An Analysis of Maternal and Child Healthcare Services in South Korea

Other Titles
An Analysis of Maternal and Child Healthcare Services in South Korea
Authors
박인희문다슬이재경오인성정혜주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사회보장학회
Keywords
초기아동발달; 조기개입; 산모; 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모자보건; 보편지원; 추가지원; 전문지원; 건강 우선 정책; Early Childhood Development; Early Intervention; Maternal; Infants; Child; Healthcare Services; Maternal and Child Health; Universal Support; Targeted Support; Indicated Support; Health in All Policies
Citation
사회보장연구, v.36, no.4, pp.1 - 32
Indexed
KCI
Journal Title
사회보장연구
Volume
36
Number
4
Start Page
1
End Page
32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60238
ISSN
1225-5866
Abstract
초기아동발달기의 산모와 아동의 경험은 출생 이후 발달과 건강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적정한 개입이 필요하며, 이런 의미에서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제도는 모든 아동의 건강한 출발과 성장을 보호․증진하기 위해 개입하는 필수적인 제도이다. 이를 개별적으로 다룬 연구는 있었으나 이용자의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제도 전반을 분석하여 그 현황과 한계를 파악하고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단위에서 시행되는 국내 24개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을 생애주기와 대상의 필요 정도(intensity)에 따라 분류하고, 각 사업의 지원대상, 급여방식, 지원시기, 담당기관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행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제도는 첫째, 이용자의 신청에 기반하고, 둘째, 비용 지원이 대부분으로 서비스 지원이 부족하며, 셋째, 전문적인 필요에 대응하는 지원이 부족하며, 넷째, 지원기간이 출산 전후에 집중되어 있으며, 다섯째, 사업들이 분절적으로 시행되는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제도는 생애주기에 따른 시간 차원의 연계성, 커뮤니티케어를 통한 장소 차원의 연계성, 필요 정도에 따른 사업 간 서비스 차원의 연계성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 이러한 통합과 연계가 원활히 작동하기 위하여 ‘건강 우선 정책(HiAP)’ 관점의 다부문 협력 체계가 기반이 되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ealth Sciences > Division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UNG, Hae joo photo

CHUNG, Hae joo
보건과학대학 (보건정책관리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