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세기 고려청자 螭龍紋의 圖像的 특징과 연원The Origin and Iconography of the Chilong Design Found on 12th Century Goryeo Celadon
- Other Titles
- The Origin and Iconography of the Chilong Design Found on 12th Century Goryeo Celadon
- Authors
- 김윤정
- Issue Date
- 2018
- Publisher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Keywords
- Chilong; Goryeo Celadon; Sandangri Kiln Site; Kaogutu; Virtue of earth; Jades; Archaism; 이룡; 고려청자; 사당리요지; 고고도; 옥기; 土德; 仿古
- Citation
- 미술사학, v.35, pp 7 - 38
- Pages
- 32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미술사학
- Volume
- 35
- Start Page
- 7
- End Page
- 38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79140
- ISSN
- 1229-8433
- Abstract
- 본고에서는 송대 자기, 옥기, 금속기, 칠기 등의 공예품, 禮書, 金石學書, 문헌기록 등에 보이는 이룡문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고려청자 이룡문의 도상적 특징과 연원을 찾고, 제작되는 배경과 시기, 상징적 의미, 용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룡문 고려청자의 기종, 시문기법, 번조받침 등을 분석한 결과, 이룡문은 특정한 기 형의 청자에만 보이며, 시문방법은 주로 음각과 압출양각기법이 사용되었다. 번조받 침은 대부분 규석을 사용하여 최고 품질로 제작되었고, 백색내화토빚음 받침도 일부 확인되었다. 이룡문 고려청자의 이러한 특징을 통해서 제작 시기를 12세기 전반 경으 로 좁혀볼 수 있었다.
송대공예품에서이룡의등장은고대옥기나청동기등에대한수집및연구가본격 화되고, 이와 관련된 자료가 수록된 呂大臨의 考古圖가 완성되는 1092년부터 휘종 연간(1100-1125)으로 추정된다. 이룡문은 북송대 중기 이후에 유행하는 ‘仿古’ 열풍으 로 등장하는 것이며, 휘종제의 옥새, 옥배, 황실용 자기에 문양으로 사용된 예와 문헌 기록을 통해서 황제와 관련되는 상징성을 확인하였다.
고려청자의 이룡문은 고고도에 수록된 고대 옥기의 이룡문과 매우 유사하여, 북 송대 간행되는 고고도와 같은 금석학서나 ‘仿古’ 옥기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고려 12세기 1/4분기 경에 적극적으로 수용된 북송대 문물 중에 고고도나 ‘仿古’ 옥기 등 이 포함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고 고려청자의 이룡문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추정하 였다.
마지막으로 12세기 최고 품질의 고려청자에 이룡문이 사용된 주요 원인은 왕과 관 련되는 이룡의 상징적 의미라고 판단하였다. 이룡은 황제 또는 왕이 갖춰야 하는 五德 중에 土德을 상징하는 상서로운 동물이었고, 1131년에 정지상의 祭文에서도 토덕을 왕의 필수 덕목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근거로 하여 가마터에서 발견되는 많 은 수량의 이룡문이 표현된 잔탁, 주자, 접시, 발 등은 왕실 의례기로 사용되었을 가능 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