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의 수변공간 도시재생사업 특성 연구- 2016~2017년 도시재생사업 활성화계획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t Waterfront Areas in Korea - Focusing on the Revitalization Pla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during 2016 and 2017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t Waterfront Areas in Korea - Focusing on the Revitalization Pla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during 2016 and 2017
Authors
이유경이승호조영태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도시설계학회
Keywords
도시재생사업; ‘도시재생 뉴딜사업’; 수변공간; 활성화계획;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Waterfront; Revitalization Plan
Citation
도시설계, v.19, no.6, pp.111 - 130
Indexed
KCI
Journal Title
도시설계
Volume
19
Number
6
Start Page
111
End Page
130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79839
DOI
10.38195/judik.2018.12.19.6.111
ISSN
1598-0650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도시재생사업이 도시의 자연적 자원인 물(담수)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2016부터 2017년까지 정부가 선정한 다수의 도시재생사업 중 수변공간 관련 사업을 선별하여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하고 특징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총 20개의 도시재생사업이 도심 내 하천변과 해안가를 활용하여 추진하고 있었다. 구체적인 사업의 형태로는 ① 생태하천복원, ② 역사문화자원을 연계한 수변관광지 개발, ③ 수변네트워크ㆍ녹지ㆍ산책로 조성 ④ 항구 기반 수변도시개발 및 도심재생, ⑤ 섬의 이점을 활용한 수변경관사업, ⑥ 조선업 침체지역재생 등이 있었다. 이러한 사업들은 관계부처 및 공공기관과의 협업과 주민참여 활성화 등에 힘쓰고 있었으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는 데는 한계를 보였다. 또한, 수변공간 관련 대부분의 사업들이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는데 그쳐 향후 사업 내용 및 주체의 다각화가 요구된다. 전문성과 노하우를 가진 공공기관(한국수자원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제안 사업이 사업의 다양화 및 내조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 International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EUNG HO photo

LEE, SEUNG HO
국제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