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동해안 <손님굿> 무가의 사설 확장 방식과 의미 -<서구할미> 설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정-
dc.date.accessioned2021-09-03T12:34:46Z-
dc.date.available2021-09-03T12:34:46Z-
dc.date.created2021-06-17-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issn1229-6953-
dc.identifier.uri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85505-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은 동해안 &lt;손님굿&gt; 무가의 사설 확장 방식과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동해안 &lt;손님굿&gt; 무가는 다른 지역에 비해 등장인물이 많고, 후반부 사건이 복잡하고 내용도 긴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사 전개 과정에서 ‘노구할미’의 역할이 강조된 점, ‘장자, 철운이, 외손자’등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특히 같은 지역에 ‘천연두신’과 관련된 &lt;서구할미&gt; 설화가 전승되는데 무가와 비슷하면서도 전혀 다른 주제 의식을 띠고 있어 비교의 필요성을 느꼈다. 분석 결과 동해안 &lt;손님굿&gt; 무가는 다음과 같이 사설이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동해안 &lt;손님굿&gt; 무가에는 ‘노구할미’의 역할이 강조되어 있다. ‘노구할미’는 손님네를 극진히 대접하는 동시에 신과 인간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며 다른 사람들도 천연두를 가볍게 앓고 지나가게 도와주는 무당이다. 이는 같은 지역에서 전승되는 &lt;서구할미&gt; 설화와 극명한 대비를 이루는 것이다. 여기서 ‘서구할미’는 노구할미와 달리 중재인의 역할은커녕(천연두를 치료해주는 것은커녕) 돈이나 굿에만 집착하고 사람들을 괴롭히고 현혹시키는 무당으로 그려지기 때문이다. 즉 동해안에서는 굿을 미신으로 치부하는 사람들이 늘고 무당에 대한 부정적 시선이 확대되자, 무당들은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사람들에게 자신들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인식시킬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이 방면으로 무가 사설을 확장했던 것이다. 물론 선후 관계야 명확하게 확증할 수 없지만 분명한 것은 ‘굿, 무당, 신’에 대한 이중적인 시선이 동해안 지역에 존재했다는 것이며, 이는 신자와 불신자 사이의 거리만큼 다른 이야기판(굿판)에서 이 두 설화가 불리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동해안 &lt;손님굿&gt; 무가는 신자와 불신자로 구분되는 사람들이 ‘손님신’을 어떻게 대하고 그로 인해 어떤 결말을 맞는지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이는 신자(노구할미, 외손자)와 불신자(장자, 철운이)의 삶이 얼마나 다른지 극명하게 대조해서 보여줌으로써 신앙민의 신앙심을 고취시키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동해안 &lt;손님굿&gt; 무가에서는 ‘손님신’의 역할이 ‘천연두 치료’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재물을 관장’하는 것도 추가되어 있다. 이는 백신 등 과학적 치료법 개발 등으로 굿에 대한 효용성이 계속해서 의심받는 상황에서, 신의 직능을 확대함으로써 ‘손님굿’에 대한 당위성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dc.languageKorean-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민속학회-
dc.title동해안 &lt;손님굿&gt; 무가의 사설 확장 방식과 의미 -&lt;서구할미&gt; 설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how the Shamon’s song lyrics of &lt;Sonnimgut&gt; in Eastern Coast was expanded and its significance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lt;Seoguhalmi&gt; folk tale--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혜정-
dc.identifier.doi10.21318/TKF.2017.11.66.16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민속학, v.66, pp.169 - 196-
dc.relation.isPartOf한국민속학-
dc.citation.title한국민속학-
dc.citation.volume66-
dc.citation.startPage169-
dc.citation.endPage196-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288474-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해안 손님굿-
dc.subject.keywordAuthor천연두-
dc.subject.keywordAuthor노구할미-
dc.subject.keywordAuthor서구할미-
dc.subject.keywordAuthor무당에 대한 이중적 시선-
dc.subject.keywordAuthor&lt-
dc.subject.keywordAuthorSonnimgut&gt-
dc.subject.keywordAuthorthe Shamon song in Eastern Coast-
dc.subject.keywordAuthorsmallpox-
dc.subject.keywordAuthorNoguhalmi-
dc.subject.keywordAuthorSeoguhalmi-
dc.subject.keywordAuthordual perspective on sham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