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역할과 정책수단: 금융안정정책을 중심으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인준 | - |
dc.contributor.author | 김성현 | - |
dc.contributor.author | 김소영 | - |
dc.contributor.author | 김진일 | - |
dc.contributor.author | 신관호 | - |
dc.date.accessioned | 2021-09-03T12:37:12Z | - |
dc.date.available | 2021-09-03T12:37:12Z | - |
dc.date.created | 2021-06-17 | - |
dc.date.issued | 2017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85529 | - |
dc.description.abstract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저성장, 저물가, 금융불안의 시대를 맞아 기존의 물가안정이나 고용안정 외에 금융안정화가 중앙은행의 중요 목표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금융안정화를 위해 한국은행이 맡아야 하는 바람직한 역할이 무엇이며 중장기적으로 한국은행이 금융안정화를 위한 거시건전성 정책을 펼치는데 있어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은행이 신축적 물가상승률 목표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기적으로 실물경기안정을 동시에 추구하기를 권고한다. 동시에 동운영체제만으로 한국은행의 새로운 목표인 금융안정을 달성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판단한다. 이번 글로벌 금융위기를 통해 얻은 교훈 중 하나는 전통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여겨졌던 두 부문의 안정화, 즉 실물경기의 안정화와 물가의 안정화가 동시에 달성되더라도 금융부문의 불안정성이 커질 수 있고, 결국 금융불안이 증폭되면 일시에 실물과 물가도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금융불안이 너무 커지기 전에 사전적으로 이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통화정책만으로 물가 및 실물 안정을 추구하면서 금융안정까지 추구하는 것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틴버겐의 법칙에 따르면 여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동일한 수의 수단이 필요하다. 경제전체의 금융불안에 사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을 거시건전성 정책수단이라고 한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11년 새롭게 개정된 한은법에는 금융안정이 한국은행의 새로운 목표로 명시되었지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의 확충에는 소홀히 하였다. 따라서 한국은행이 물가상승률 목표제와 금융안정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선 거시건전성 정책 수단의 확충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가장 손쉽게 시도해 볼 수 있는 방안은 금융위원회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한국은행이 거시건전성 정책 운영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금융위원회는 중요한 거시건전성정책을 결정할 때 이를 한국은행과 반드시 협의한 후 금융위원회에 부의해야 한다”라고 명시하는 것이다. 동시에 거시건전성정책에 대한 한국은행의 책임도 명시화할 필요가 있다.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근본적으로 거시건전성 정책체계를 바꿀 수 있다는 가정을 염두에 두고 새로운 시스템을 설계하자면 다음의 세 가지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방안 1]은 시스템 위기를 전담하는 금융안정위원회(가칭)를 상설기구로 신설하고 동 위원회에서 거시건전성 정책을 의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방안 2]는 거시건전성 정책의 주체로 한국은행을 지정하는 것이다. [방안 3]은 금융감독체계를 전면 개편하여, 한국은행으로 하여금 거시건전성 정책을 포함한 금융 건전성감독 전반을 책임지게 하는 것이다. 영국은 금융위기 이후 법체계를 정비하여 이러한 방안을 채택하였다. 하지만 [방안 3]은 한국이 채택하기 위해서는 전면적인 금융감독체계의 개편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 - |
dc.language | Korean | - |
dc.language.iso | ko | - |
dc.publisher |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 - |
dc.title | 한국은행의 역할과 정책수단: 금융안정정책을 중심으로 | - |
dc.title.alternative | Financial Stability, Macroprudential Policy Tools, and the Role of the Bank of Korea | - |
dc.type | Article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김진일 | - |
dc.identifier.doi | 10.22823/jkea.23.1.201704.185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한국경제의 분석, v.23, no.1, pp.185 - 287 | - |
dc.relation.isPartOf | 한국경제의 분석 | - |
dc.citation.title | 한국경제의 분석 | - |
dc.citation.volume | 23 | - |
dc.citation.number | 1 | - |
dc.citation.startPage | 185 | - |
dc.citation.endPage | 287 | - |
dc.type.rims | ART | - |
dc.identifier.kciid | ART002218272 | - |
dc.description.journalClass | 3 | - |
dc.subject.keywordAuthor | 한국은행 | - |
dc.subject.keywordAuthor | 물가상승률 목표제 | - |
dc.subject.keywordAuthor | 금융안정 | - |
dc.subject.keywordAuthor | 거시건전성정책 | - |
dc.subject.keywordAuthor | Bank of Korea | - |
dc.subject.keywordAuthor | inflation targeting | - |
dc.subject.keywordAuthor | financial stability | - |
dc.subject.keywordAuthor | macroprudential policy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02841)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02-3290-1114
COPYRIGHT © 2021 Korea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