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북한의 주체미학과 화장문화(Make-up)에 관한 연구: 화장행태와 사회적 인식을 중심으로A Study on Juche Esthetics and Make-up of North Korean Women: Focusing on Make-up Behavior and Social Identity

Other Titles
A Study on Juche Esthetics and Make-up of North Korean Women: Focusing on Make-up Behavior and Social Identity
Authors
남성욱
Issue Date
2017
Publisher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Keywords
주체미학; 화장문화(make-up); 사회통제; 북한여성; 정치사회화; Juche Aesthetics; Women’ s Make-up Culture; Political Socialization
Citation
평화학연구, v.18, no.3, pp.75 - 103
Indexed
KCI
Journal Title
평화학연구
Volume
18
Number
3
Start Page
75
End Page
103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85911
DOI
10.14363/kaps.2017.18.3.75
ISSN
1738-2580
Abstract
북한사회는 개혁과 개방을 거부한 폐쇄적인 현실 속에서 북한식 주체미학을 추구한다. 주체미학에서는 사회생활의 미, 투쟁의 미를 더 귀중히 여기고 인간생활을 보다 아름답게 개척해나갈 것을 요구한다. 또한 자연의 아름다움도 사회적 가치를 기준으로 평가한다. 북한에서 제일의 아름다움은 장군님을 절대적으로 믿고 받드는 충성의 한마음, 조국을 받드는 애국의 한마음을 지닌 사상・도덕적 풍모이다. 북한 여성들의 화장문화 행태를 통해서 여성들의 정치사회화 함의를 파악하는 것은 북한 사회에 대한 미시적 분석차원에서 필요하다. 여성들은 외모 가꾸기를 통해 여성의 존재감을 인식한다. 북한 당국은 일정한 사회적 통념이라는 무형의 규제 속에서 여성들의 화장문화를 관리한다. 통상적으로 여성들의 화장문화는 개인의 아름다움에 대한 개성적인 측면과 사회적 통념이 접점을 찾는 지점에서 형성된다. 북한과 같이 권위주의 사회에서는 사회통제라는 절제된 아름다움과 여성 개인의 아름다움 및 개성이 절묘하게 연결되는 과정이 화장문화(make-up culture)다. 본고는 북한 여성들의 화장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실상을 파악하기 위해 북한이탈주민 167명을 대상으로 60개 항목의 기초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심층집중인터뷰를 통해 질적인 분석을 보완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Nam, Sung Wook photo

Nam, Sung Wook
행정전문대학원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