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백내장 종류에 따른 안내 수차의 패턴 분석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지윤-
dc.contributor.author엄영섭-
dc.contributor.author임재원-
dc.contributor.author강수연-
dc.contributor.author김효명-
dc.contributor.author송종석-
dc.date.accessioned2021-09-04T21:47:23Z-
dc.date.available2021-09-04T21:47:23Z-
dc.date.created2021-06-17-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issn0378-6471-
dc.identifier.uri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95254-
dc.description.abstract목적: 안구의 전체 수차가 아닌 수정체의 변화에 의해 주로 나타나는 안내 수차를 이용하여 백내장 종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 수술을 받고자 내원한 환자 70명 80안을 대상으로 수술 전 검사로 KR-1W 수차계를 이용하여 안내 수차를 측정한 환자에서 백내장 종류(피질백내장, 핵백내장, 후낭하백내장)에 따라 동공 지름 6 mm 범위에서의 안내 수차의 값과 그 수치의 절대값을 독립표본 비모수 검정을 통해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전체 80안 중 피질백내장 30안, 핵백내장 30안, 후낭하백내장 20안이었고, 동공 지름 6 mm 범위에서 안내 구면수차의 고유값평균은 피질백내장 0.042 μm, 핵백내장 -0.092 μm, 후낭하백내장 -0.109 μ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절대값으로 비교했을 때는 피질백내장 0.122 μm, 핵백내장 0.533 μm, 후낭하백내장 0.202 μm로 핵백내장이 다른 두 백내장에 비해 유의하게 더 컸다(p=0.003, Kruskal-Wallis test). 또한 백내장 그룹별로 안내 구면수차의 분포를 보았을 때 높은 양의 값 또는 음의 값을갖는 경우는 대부분 핵백내장이었다. 그 외에 안내 난시나 코마 등 다른 고위수차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백내장의 종류에 따라 안내 구면수차 값을 비교한 결과 핵백내장의 경우 피질백내장이나 후낭하백내장에 비해 안내 구면수차값의 변화가 컸고, 높은 양의 값이나 높은 음의 값을 갖는 경우가 많았다.-
dc.languageKorean-
dc.language.isoko-
dc.publisher대한안과학회-
dc.title백내장 종류에 따른 안내 수차의 패턴 분석-
dc.title.alternativeAnalysis of Internal Optical Aberrations in Eyes with Different Types of Cataract-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송종석-
dc.identifier.doi10.3341/jkos.2015.56.4.53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대한안과학회지, v.56, no.4, pp.532 - 540-
dc.relation.isPartOf대한안과학회지-
dc.citation.title대한안과학회지-
dc.citation.volume56-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532-
dc.citation.endPage540-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1982458-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Different types of cataract-
dc.subject.keywordAuthorInternal optical aberrations-
dc.subject.keywordAuthorInternal spherical aberra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 >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Jong Suk photo

Song, Jong Suk
의과대학 (의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