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이해의 명료화를 위한 질문 연구 - 응답의 근거를 명료화하는 질문을 중심으로A Study on a question for good understanding of a text - Centered a question for clarifying a ground of answer

Other Titles
A Study on a question for good understanding of a text - Centered a question for clarifying a ground of answer
Authors
정은아
Issue Date
2014
Publisher
우리말교육현장학회
Keywords
good understanding; clarifying a ground of answer; classification of question(textually explicit; textually implicit; " scriptally" implicit); understand a text deeply; 이해의 명료화; 응답의 근거를 명료화; 질문의 분류(‘텍스트 명시적 질문’; ‘텍스트 암시적 질문’; ‘선행지식 암시적 질문’); 깊이 있는 의미 구성
Citation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8, no.2, pp.193 - 216
Indexed
KCI
OTHER
Journal Title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ume
8
Number
2
Start Page
193
End Page
216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00162
ISSN
1976-3204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응답의 근거를 명료화하는 질문을 통해 글에 대한 깊고 명료한 이해를 돕는 데 있다. 수업 활동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질문은, 수업의 성공적 달성을 위해 매우 중요한 교수 기술이다. 그리고 학습자의 읽기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도 고무적인 방법이다. 그런데 글의 이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텍스트에 근거하되, 설사 그것이 독자의 배경지식을 엮어 추론된 것이라 하더라도 그 배경지식 또한 텍스트에 의거하여 마땅한 것을 끌어오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질문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이 텍스트 내의 근거를 가지고 정확히 형성해 낸 것인지를 확인 하는 질문에 대한 관심은 소홀했으며, 많은 학생들은 글 읽는 데 있어서 부정확한 태도를 지니고 있다 하겠다. 따라서 본고는, 「기억 속의 들꽃」(윤흥길)을 사례로 들어 일반적으로 교과서에서 묻고 있는 질문을 정리하고, 그것들을 질문과 답의 관계에 따라 ‘텍스트 명시적 질문’, ‘텍스트 암시적 질문’, ‘선행지식 암시적 질문’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유형별로 지니는 질문의 특성 차이를 염두에 두고, 응답의 근거를 명료화하는 질문의 과정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그것을 통해 학습자는 답의 근거를 명료화하고 결과적으로 글을 깊이 있게 의미 구성하는 읽기 능력을 내면화하게 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ulture and Sports > Division of Culture Creativit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