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The Conjugation Form and Syntactic Category of ‘anhda(않다)’ in Modern Korean현대 국어 ‘않다’의 활용 형태와 통사 범주

Other Titles
현대 국어 ‘않다’의 활용 형태와 통사 범주
Authors
최호철
Issue Date
2014
Publisher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Keywords
아니하다; 안하다; 않다; 안타; 활용 형태; 통사 범주; 어휘적 의미; 통사적 의미; 타동; 보조용언; anihada(아니하다); anhada(안하다); anhda(않다); anta(안타); conjugation form; syntactic category; lexical meaning; syntactic meaning; transitive; auxiliary predicate
Citation
Journal of korean Culture, v.27, pp.7 - 51
Indexed
KCI
OTHER
Journal Title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ume
27
Start Page
7
End Page
51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00330
ISSN
1976-0744
Abstract
이 논문은 ‘않다’가 모든 경우에 규칙적인 활용 형태를 유지한다고 설명한 점과 앞에 ‘-지’형의 구절이 없을 경우에 드러나는 ‘않다’의 기능에 대한 견해의 불일치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앞에 ‘-지’형의 구절이 있을 경우에는 재구조화된 ‘않다’를 인정하되, 앞에 ‘-지’형의 구절이 없을 경우에는 재구조화된 ‘않다’ 대신 ‘안하다’를 활용의 근간으로 삼고 ‘안하다’의 준 활용 형태를 별도로 설정하였으며, ‘안하다’의 준 활용 형태에 대한 표기를 현행 표기 규정에 맞게 ‘안타’로 수정하였다. ‘아니하다’는 서술성의 통사적 의미가 없는 ‘아니’에 서술성을 추가하는 ‘하다’가 결합하여 이루어졌으나 거기에는 동작성이나 상태성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는 요소가 없기 때문에 ‘아니하다’ 자체의 통사 범주는 동사도 형용사도 아니고 이들의 상위 범주인 본용언도 아니며 오직 보조용언으로만 존재할 뿐이다. 결과적으로 보조용언 ‘아니하다’는 앞에 ‘-지’형 구절이 없을 경우에도 실현되고 앞에 ‘-지’형 구절이 있을 경우에도 실현되지만, 보조용언 ‘안하다’는 앞에 ‘-지’형 구절이 없을 경우에만 실현되고, 보조용언 ‘않다’는 앞에 ‘-지’형 구절이 있을 경우에만 실현됨으로써 이들은 상보적 분포를 보인다. 그리고 본용언의 ‘하다’가 생략되더라도 남은 부분의 범주는 그대로 본용언을 이어 받으며, 보조용언 ‘안하다’는 ‘않다’와 구분되는 ‘안타’로 그 활용 형태가 줄어들기도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