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교육 개념의 수용에 관한 개념사적 고찰A Conceptual History Study on the Adoption of Education in Korea
- Other Titles
- A Conceptual History Study on the Adoption of Education in Korea
- Authors
- 한용진
- Issue Date
- 2014
- Publisher
- 한국교육사상학회
- Keywords
- 교육; 개념사; 고종시대; 동유교육(童幼敎育); education; conceptual history; the reign of King Kojong; Tong You Jiao Yu(童幼敎育)
- Citation
- 교육사상연구, v.28, no.1, pp.339 - 361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교육사상연구
- Volume
- 28
- Number
- 1
- Start Page
- 339
- End Page
- 361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00440
- DOI
- 10.17283/jkedi.2014.28.1.339
- ISSN
- 1738-1851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사적 관점에서 조선에 근대적 교육 개념이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가를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정리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에듀케이션(education)이라는 단어가 영어사전에 처음 등장하게 된 것은 근대가 시작되던 1527년이다. 둘째, 17세기 바뇨니(P. A. Vagnoni)의『동유교육(童幼敎育)』(1620)에서는 ‘육(育)・학(學)’ 중심의 교육개념을보여주고 있다. 셋째, 18세기 후반부터 서양에서는 에듀케이션을 ‘보편적인 인간의 형성’이라는계몽주의적 관념과 정치경제적으로 ‘유용한 능력의 습득’을 강조하는 서로 다른 개념을 포함하기 시작하였다. 넷째, 19세기 후반 동아시아에 소개되는 에듀케이션의 번역어로는 ‘교도(敎導)’,‘교학(敎學)’, ‘교육(敎育)’, ‘발육(發育)’, ‘이업(肄業)’, ‘교양(敎養)’, ‘교훈(敎訓)’, ‘이습(肄習)’ 등 다양한 표현이 있다. 다섯째, 고종 시대에 수용되는 교육 개념은 전통시대의 인격 수양이나 형성과 관련된 개념보다는 국가 보존을 위한 실용주의적 덕체지 중심의 삼육론을 핵심강령으로 하고 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