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한문문집을 활용한 학문연구와 정본화 방법에 관한 일고찰A Study on Using Munjip as the Materials for the Study ofHanmun and Plans for Producing Definitive Editions

Other Titles
A Study on Using Munjip as the Materials for the Study ofHanmun and Plans for Producing Definitive Editions
Authors
심경호
Issue Date
2013
Publisher
한국고전번역원
Keywords
한문학; 문집; 정본; 계년화; 한국문집총간; Study of Hanmun(漢文學); Munjip(文集); Definitive Edition(定本); Chronicle; Complete Collection of Munjip of Traditonal Korea(韓國文集叢刊)
Citation
민족문화, v.42, pp.287 - 336
Indexed
KCI
Journal Title
민족문화
Volume
42
Start Page
287
End Page
336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04446
DOI
10.15752/itkc.42..201312.287
ISSN
1738-4648
Abstract
본고는 지금까지의 한문학 연구가 문집을 어떻게 활용하여 왔는지 개괄하고, 앞으로 외연이 확장되어야 할 한문학 연구에서 문집을 연구 자료로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논하였다. 즉, 본 논문은 기왕의 한문학 연구 성과를 ⑴ 작가연구 ⑵ 한문학의 양식 연구 ⑶ 斷代史別, 流派學派別 연구 ⑷ 유가 이외의 사상 연구 ⑸ 主題 연구 ⑹ 출판문화와 한문학 ⑺ 비평이론과 미학론의 순으로 우선 개괄하고 각 분야마다 문집 활용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어서 한문학 연구자료로서 문집 활용 방안을 3개의 층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먼저 한문학의 기초적 연구에서는 ① 문집의 성립과 체제에 관한 연구 ② 저술의 문체(문언어법/이두식한문) 연구 ③ 문집 자료와 기타 자료의 교차 연구 ④ 문, 사, 철 연구 자료의 체계적 정리가 요구됨을 서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 문집 수록의 문체 분류 체계에 관한 연구 ⒝ 문집의 저술 주체에 관한 연구 ⒞ 중심사상의 발견 등을 중심으로 한 심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피력하였다. 아울러 ⓐ 단대사별 유파별 연구의 심화 ⓑ 언어문자와 역사 혹은 권력의 관계에 대한 연구 ⓒ 동아시아 문화사와 한국한문의 비교 연구 등의 관계망 연구도 병행되어야 함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문집의 자료를 활용하고 정본을 확립하는 문제와 관련하여, 輯佚을 통한 개방형 텍스트의 구축과 繫年化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연구자료서 문집을 활용하는 방안은 한문학 연구의 목적과 범위,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든 자료의 집적과 연관 자료의 관계망 구축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