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부재와 공허의 수사학La rhétorique de l’absence et du vide dans le Ravissement de Lol V. Stein de Marguerite Duras

Other Titles
La rhétorique de l’absence et du vide dans le Ravissement de Lol V. Stein de Marguerite Duras
Authors
Simon Kim
Issue Date
2013
Publisher
프랑스문화예술학회
Keywords
마르그리트 뒤라스(Marguerite Duras); 소설(roman); 신비주의(mystique); 환상(fantasme); 부재(absence)
Citation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45, pp.1 - 24
Indexed
KCI
Journal Title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ume
45
Start Page
1
End Page
24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04450
DOI
10.21651/cfaf.2013.45..1
ISSN
1229-5574
Abstract
마르그리트뒤라스의 소설 Le Ravissement de Lol V. Stein(이 소설의 제목자체가 한국말로 옮기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Ravissement이 동시에 황홀도 되고 유괴나 강탈도 된다는 것이다)은 겉보기에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단순한 사랑이야기로 여겨진다. 하지만, 그 속을 가만히 살펴보면 단순한 사랑이야기로 치부하기엔 의외로 이해하기 힘든 소설임을 알 수 있다. 주인공 롤 베 슈타인은 처녀때 어느 무도회에서 자기 약혼자가 처음 보는 여자랑 자기를 떠나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아 고향을 떠난다. 그 후, 10년 후에 다시 고향으로 돌아온 롤 V. 슈타인은 옛 학교 여자 친구를 만나게 되고, 그녀의 연인도 알게 된다. 롤은 그녀가 10년 전 과거에 겪었던 아픔을 이 새로운 만남을 통해 불륜의 삼각관계로 재현하려고 한다. 모두가 롤 배 슈타인이 미쳤다고 하지만 이 소설의 화자인 롤의 옛 학교 여자 친구의 연인은 롤이 제안한 환상에 빨려들게 된다. 그러나 이 줄거리가 소설의 모호한 서술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왜냐하면 처음부터 끝까지 우리가 롤에 대하여 확실하게 무엇인가를 안다고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녀가 과연 미친 건지 아니면 화자가 사랑에 빠져서 미쳐가는 것인지를 정확하게 말할 수 없다는데 그 이유가 있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이 소설 속에서 롤 V. 슈타인이라는 인물을 이해하기에는 뭔가가 빠져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이 소설의 (독자로 하여금 뭔가를 알 듯 하다가 끝까지 모르게 하는) 애매모호한 서술방식을 ‘부재의 수사’라는 제목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작가는 소설에서 빠진 이 뭔가를 부재-단어(mot-absence) 혹은 구멍-단어(mot-trou)라고 하면서 주인공 롤 베 슈타인과 그녀의 관한 이야기를 신비로 둘러싼다. 이와 같이 모든 것을 이해 할듯하면서 그 모든 것을 파악하기가 부족한 상황을 만드는 ‘부재의 수사’(rhétorique de l’absence)는 중세 기독교 신비주의의 수사와 흡사한 점이 많다는 것을 본 논문이 보여주고자 한다. 특히 부정의 신학이 자주 사용하는 수사 기교와 비교하면 이 소설이 이야기하려는 것이 단순히 비정상적 삼각관계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 해도 이 소설에서 작가가 부재의 수사로 암시하려는 것은 종교에서의 절대적인 신 같은 초월적인 진리도 아니다. 기독교의 신비주의 작가들이 흔히 하느님을 찬양할 때 연애의 어법을 사용했듯이 마르그리트 뒤라스는 정의되지 않은 것에 대한 동경을 그리고 있다. 그리고 그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답을 찾으려면 이 삼각관계를 좀 더 깊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많은 비평가들이 삼각관계가 원초의 부-모-자의 삼각관계를 뒤풀이한다고 하면서, 이 소설을 정신분석학적으로 해설하려고도 했고, 또 한편으로는 롤이 자기가 받은 충격에서 벗어나려고 마치 정신분석 치료를 하듯이 또 다시 삼각관계를 만드는 것이라는 정신분석학적 해설을 해보기도 했다. 그러나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이렇다 할 뚜렷한 해설을 하기엔 그 이야기가 더더욱 복잡하게 발전한다. 즉, 삼각관계를 만들긴 하나, 이 관계 안에서 더 이상 누가 누구의 역할을 맡았는지가 불투명하다. 원래 같이 사랑을 나누는 한 여자와 한 남자가 있고 그것을 보는 제삼자가 있는 것이 삼각관계인데, 여기서는 보는 사람이 사랑을 나누는 사람이 되고, 또한 누가 누군지가 중요하지 않은 조직체가 되어간다. 소설 끝부분에 등장인물의 이름들이 혼돈된 것은 이 조직체와 언어의 신비가 어떤 일반적인 이야기를 구성하는 것보다 문학과 언어[소위 에끄리뛰르écriture]에 대한 황홀[ravissement]을 부정의 수사로, 즉 필자가 말하는 부재의 수사로 묘사하는 것에 더 큰 중요성을 부여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French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imon photo

Kim, Simon
문과대학 (불어불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