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범람원에서 발견된 적색밴드에 대한 미세구조 특성: 고고학 유적층을 사례로Micromorphology of reddish band in Quaternary deposits: a case study from archaeological site developed on floodplain

Other Titles
Micromorphology of reddish band in Quaternary deposits: a case study from archaeological site developed on floodplain
Authors
성영배이진한조석주이홍종
Issue Date
2013
Publisher
한국지형학회
Keywords
reddish band; floodplain; micromorphology; clay mineral; OSL dating; 적색 밴드; 범람원; 미세구조; 점토 광물; OSL 연대측정
Citation
한국지형학회지, v.20, no.2, pp.41 - 52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지형학회지
Volume
20
Number
2
Start Page
41
End Page
52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06364
ISSN
1226-4296
Abstract
고고학 유적을 함유한 범람원 퇴적층에서 발견되는 적색의 밴드에 대하여 광학현미경을 통하여 미세구조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퇴적층의 연대측정과 입도분석을 실시하였다. 퇴적층은 전체적으로 상향세립화의 경향을 보이며, 이질 크기의 적색 밴드들은 사질 물질들과 교호하고 있으며, 경계는 다양하다. 적색 밴드는 이질 크기의 물질들로 충진되어 있으며, 산화광물과 유기물들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적색 밴드와 사질 퇴적물이 접하는 면이 항상 날카롭지 않고 점이적으로 발달하기도 하며 요동하는 형태도 발견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점토질 퇴적물이 먼저 퇴적된 사질 및 실트질 퇴적물 위에 쌓이고 이 후 토양수나 지하수의 유동을 따라 하부로 침투하는 과정을 통하여 현재의 적색 밴드를 형성한 것으로 사료된다. 트렌치로 인해 신선한 대기에 7-8일 노출된 이후, 이러한 적색밴드들이 선명하게 보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대부분의 퇴적시간 동안, 적색밴드는 환원환경에 놓였으며, 산화환경에 노출되면서 급격하게 적색화를 띠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례는 적색밴드는 광역적인 기후환경 뿐만 아니라, 국지적인 배수조건(pH)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College of Science >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 1. Journal Articles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h, Suk Joo photo

Choh, Suk Joo
이과대학 (지구환경과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