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음악장르, 여가활동, TV프로그램 선호분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문화 지형도

Authors
최샛별이명진
Issue Date
2012
Publisher
한국사회학회
Keywords
문화 지형도; 구별짓기; 계급과 문화취향; 상징적 경계; 중다대응분석(MCA)
Citation
한국사회학, v.46, no.2, pp.34 - 60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사회학
Volume
46
Number
2
Start Page
34
End Page
60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09590
ISSN
1225-0120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적 위계와 이에 상응하는 상이한 문화취향 및 실천들의 분포를 그려내어 한국 사회의 문화 지형 구조를 시각화하고, 한국 상황에 맞는 구별짓기의 경계들을 밝히는 작업을 통해 부르디외 이론의 한국적 적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7년도 KGSS 자료 중 선호하는 음악장르, 여가활동, 그리고 TV프로그램에 대한 문항들을 부르디외가 '구별짓기'(1984)에서 계급과 문화취향 간 상응성을 발견하는데 사용했던 대응분석의 발전된 기법인 중다대응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 문화 영역에 대한 문화취향은 한 축으로 연령이라는 사회적 경계에 따라 20대 이하의 문화취향과 40대의 문화취향으로 구분되고, 또 다른 축으로는 계급으로 포괄될 수 있는 소득, 학력, 그리고 직업이라는 사회적 경계에 따라 각각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자본을 많이 보유한 사회적 범주들의 문화취향과 그렇지 못한 사회적 범주들의 문화취향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연령, 소득, 학력, 직업이라는 사회적 위계와 문화취향 간에 강한 상응성이 존재함을 발견한 본 연구는,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 사회 문화 지형도의 상징적 경계가 '세대'라는 사회적 경계에 따라 청년세대문화와 기성세대문화로, 그리고 '계급'이라는 사회적 경계에 따라 상층문화와 하층문화로 구획화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적 맥락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져 간과되어 온 계급이라는 축이 연령과 더불어 한국 사회의 문화적 분화를 설명해 줄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라는 점을 밝혀내고, 이로써 한국 사회의 문화 지형도를 그리는 데 핵심이 되는 큰 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Soc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Myoung Jin photo

Lee, Myoung Jin
문과대학 (사회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