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분배공정성, 승진기회인식, 역할갈등이 공군조종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지된 동료구직행동 및 직무몰입의 조절효과The Effects of Distributive Justice, Perception of Promotion Opportunity, Role Conflict on Air Force Pilot's Turnover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Coworker's Job Search Behavior and Job Involvement

Other Titles
The Effects of Distributive Justice, Perception of Promotion Opportunity, Role Conflict on Air Force Pilot's Turnover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Coworker's Job Search Behavior and Job Involvement
Authors
정효수문형구최병권
Issue Date
2011
Publisher
대한경영학회
Keywords
이직의도; 분배공정성; 승진기회인식; 역할갈등; 인지된 동료구직행동; 직무몰입; Turnover Intention; Distributive Justice; Perception of Promotional opportunity; Role Conflict; Perceived Coworker' s Job Search Behavior; Job Involvement
Citation
대한경영학회지, v.24, no.5, pp.2775 - 2809
Indexed
KCI
Journal Title
대한경영학회지
Volume
24
Number
5
Start Page
2775
End Page
2809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13729
ISSN
1226-2234
Abstract
구성원의 이직의도는 실제 이직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한 변수로 인식되면서, 그 동안 인사·조직분야에서 과연 어떠한 요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많은 실증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이직의도의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는 일반 조직뿐만 아니라 공군이라는 군조직에서도 상당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최근 공군조종사의 이직이 증가하고 있으며, 우수한 조종사의 이직은 공군조직의 경쟁력 약화 및 인재양성 비용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조종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조종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과 조절요인을 규명하는 연구는 공군조직의 우수 인력 유지 및 대책 마련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조종사의 이직의도에 대하여 분배공정성, 승진기회인식, 역할갈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며, 둘째, 이들 선행요인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요인으로서 인지된 동료의 구직행동과 직무몰입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공군조종사 235명으로부터 확보한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분배공정성과 승진기회인식은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역할갈등은 이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동료의 구직행동과 직무몰입은 분배공정성·승진기회인식·역할갈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의 공군조종사들의 이직이라는 상황에 초점을 두고, 공군조종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공군조종사들이 인지하는 동료의 구직행동과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의 형성 과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이직의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군조종사의 이직 예방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공군조직과 유사한 상황적·조직적 특성을 갖는 일반 민간조직에도 상당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의 말미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