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기반 공간정보를 이용한 해양부문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Vulnerability Assessment for Ocean to Climate Change Using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GIS
- Other Titles
-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Ocean to Climate Change Using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GIS
- Authors
- 박선민; 이우균; 권태협; 이버들; 손요환; 조용성
- Issue Date
- 2011
- Publisher
- 대한공간정보학회
- Keywords
- Climate Change; Sensitivity; Adaptative Capacity; Exposure; Assessment Vulnerability; GIS; 기후변화; 공간자료; 민감성; 적응성; 노출; 취약성 평가; Climate Change; Sensitivity; Adaptative Capacity; Exposure; Assessment Vulnerability; GIS
- Citatio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19, no.3, pp 1 - 9
- Pages
- 9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Volume
- 19
- Number
- 3
- Start Page
- 1
- End Page
- 9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13796
- ISSN
- 2366-3286
2366-3294
- Abstract
- 자연 및 인간 시스템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해양 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해양에 대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 부문의 취약성 평가를 위해 민감성, 적응성, 노출 등의 규준을 설정하고, 각 규준에 적합한 평가지표를 선정 후 지표별 공간자료를 구축하였다. 해양부문에서는 평가지표 자료가 육지영역과 해양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행정구역별 육지영역 자료를 해양 영역으로 외삽을 통해 통합하였다. 그 결과, 해양부문의 취약성을 해양영역에서 공간별로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었다. 민감성의 경우, 남서쪽 해역이 동해와 서해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값이 나타났고, 노출의 경우 서해와 서・남해 해역이 변화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적응성의 경우, 동해가 적응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라남도와 제주도 북쪽 해역 또한 다른 행정구역에 비하여 적응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 세 가지 규준을 통하여 평가한 결과 상대적으로 적응성이 높지만 노출과 민감성은 월등히 높은 값을 나타낸 남서쪽 해역이 두드러지게 취약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진행된 해양 부문의 취약성 평가는 제한적인 지표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적절한 취약성 평가에 필요한 지표들의 자료구축이 필요하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 Department of Food and Resource Economics > 1. Journal Articles
-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 ETC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