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구불 결장부 거대 표재성 종양의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치료 성적Treatment Outcomes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of Large Superficial Rectosigmoid Colon Tumors
- Other Titles
- Treatment Outcomes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of Large Superficial Rectosigmoid Colon Tumors
- Authors
- 고진성; 박종재; 정원호; 이준영; 임상아; 권민정; 노혜진; 주문경; 이범재; 김지훈; 연종은; 김재선; 변관수; 박영태
- Issue Date
- 2011
- Publisher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Keywords
-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Large superficial tumor; Rectosigmoid colon; Outcomes;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Large superficial tumor; Rectosigmoid colon; Outcomes;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표재성 거대 종양; 직장-구불 결장; 성적
- Citation
- Clinical Endoscopy, v.42, no.4, pp 222 - 227
- Pages
- 6
- Indexed
- SCOPUS
KCI
- Journal Title
- Clinical Endoscopy
- Volume
- 42
- Number
- 4
- Start Page
- 222
- End Page
- 227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13847
- ISSN
- 2234-2400
2234-2443
- Abstract
- 목적: 대장의 거대 종양의 경우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는 직장-구불 결장부의 표재성 거대 종양에서 시행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서 크기가 30 mm 이상인 직장-구불 결장부 종양에 대하여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을 시행한 15명을 대상으로 병리결과, 시술성적, 합병증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결과: 병변의 평균 크기는 42.5±14.3 mm(30∼78)이었다. 조직병리 검사에서 고분화 선암 1명(6.6%), 고도 이형성을 동반한 선종 4명(26.7%), 그리고 저도 이형성을 동반한 선종 10명(66.7%)이었다. 평균 시술시간은 90.5±60.7분(22∼246)이었다. 일괄절제율은 86.7%이었고 완전절제율은 100%이었다. 측방 절제연 양성은 4명(26.6%), 수직 절제연 양성은 없었다. 합병증으로 조기출혈이 3예(20%)에서 발생하였으나 내시경으로 모두 치료하였다. 천공은 3명(20%)에서 발생하였고 이중 2명은 내시경 클립술, 1명은 개복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직장-구불 결장의 표재성 거대 종양에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은 높은 일괄절제율을 기대할 수 있는 치료법 중 하나이다. 향후 많은 증례와 장기 추적 관찰에 의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의 안전성과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Medicine >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