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약품비 지출 목표 설정을 통한 가격-사용량연동제 개선 방안 연구Improving price-volume arrangement system by linking expenditure target with pharmaceutical price negotiation

Other Titles
Improving price-volume arrangement system by linking expenditure target with pharmaceutical price negotiation
Authors
김성옥최상은
Issue Date
2011
Publisher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Keywords
의약품 지출 목표; 가격-사용량연동제; 재정위험분담제; pharmaceutical expenditure target; price volume arrangement; finance-based risk sharing scheme; pharmaceutical expenditure target; price volume arrangement; finance-based risk sharing scheme
Citation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17, no.3, pp.1 - 21
Indexed
KCI
Journal Title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ume
17
Number
3
Start Page
1
End Page
21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13977
ISSN
1738-7302
Abstract
일부 국가에서 약제비 절감 방안의 일환으로 지불자와 제약사 간 약가결정에서 재정에 근거한 합의(Finance-based schemes) 방식의 위험분담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2007년부터 약가협상지침에 근거하여 제약회사와 의약품의 가격-사용량 등을 고려하여 약가협상을 수행해 왔다. 실제 2007년부터 2009년 2/4분기 동안 가격-사용량 규제 대상 의약품에 가격조정 산식을 적용한 결과 예상사용량 대비 실제사용량 증가율은 68%~487%로 증가폭이 매우 크나 약가협상 참고산식을 적용한 결과 약가조정률은 -4.1%~-8.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제사용량이 예상사용량을 크게 증가하더라도 약가 인하는 참고식에 근거하여 10% 미만으로 되어 가격변동 폭이 크지 않다고 판단하여, 제약사가 과소 추정된 예상사용량 자료를 제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글은 현행 가격-사용량 연동제 제도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약품비지출 증가목표치를 산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재정근거 합의방안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격-사용량연동제는 재정위험 보전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의약품 효능군별로 약품비지출 증가목표치를 설정하여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현행 가격-사용량 연동제는 초과사용량 허용기준을 줄이고, 초과 지출금액 상한을 설정하는 방식을 도입하는 등 보완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Pharmacy > Department of Pharmaceutical Scienc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Sang Eun photo

Choi, Sang Eun
College of Pharmacy (Department of Pharmaceutical Scienc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