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oCam® 캡슐내시경 검사의 완전 소장 검사 및 양성 진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Factors Affecting Complete Small Bowel Study and Diagnostic Yield in MiroCam® Capsule Endoscopy
- Other Titles
- Factors Affecting Complete Small Bowel Study and Diagnostic Yield in MiroCam® Capsule Endoscopy
- Authors
- 정원호; 고진성; 김성호; 임상아; 임은혜; 이준영; 주문경; 이범재; 김지훈; 연종은; 박종재; 김재선; 변관수; 박영태; 이상우; 최재현
- Issue Date
- 2011
- Publisher
- 대한장연구학회
- Keywords
- Mirocam®; Capsule Endoscopy; Complete Small Bowel Study; Diagnostic Yield; 미로캠; 캡슐내시경; 완전 소장 검사; 양성 진단
- Citation
- Intestinal research, v.9, no.1, pp 27 - 34
- Pages
- 8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Intestinal research
- Volume
- 9
- Number
- 1
- Start Page
- 27
- End Page
- 34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13981
- ISSN
- 1598-9100
2288-1956
- Abstract
- 목적: 2001년 캡슐내시경이 개발되어 임상에 사용된 이래로 소장 질환의 진단은 비약적으로 발전해 왔다. 2007년 새로운 캡슐내시경인 MiroCam®이 개발되었으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하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소장질환으로 MiroCam® 캡슐내시경 검사를 시행한 환자들의 검사 결과를 통하여 완전 소장 검사와 양성 진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6월부터 2010년 2월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서 MiroCam® 캡슐내시경 검사(Intromedic Co., Seoul, Korea)를 시행한 103명의 의무 기록, 캡슐내시경 검사 판독 소견, 상하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 소견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대상 103명의 평균 연령은 55.47세(16-99세)였고, 남자 67명(65%), 여자 36명(35%)이었다. 캡슐내시경 검사를 시행하게 된 적응증으로는 혈변 77명(74.8%), 빈혈 8명(7.8%), 상세불명의 복통 12명(11.7%), 기타 체중감소, 만성 설사 등의 검사를 위한 경우가 6명(5.8%)이었다. 위통과 시간은 평균 59.9±88.3분(1-630), 소장통과시간은 평균 396.0±131.7분(117-708)이었다. 85예(82.5%)에서 전체 소장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졌으나 18예(17.5%)에서는 소장 전부를 검사하는데 실패하였다. 위통과 시간은 완전 소장 검사의 유의한 인자였다(OR=0.991, 95% CI=0.984-0.998, P=0.012). 81예(78.6%)에서 소장 병변이 발견되었으며 53예(51.5%)에서 적응증과 연관된 진단적 가치를 보이는 소견을 발견하였다. 시야 수준은 양성 진단의 유의한 인자였다(OR=6.776, 95% CI=1.32-34.70, P=0.022). 결론: 짧은 위통과 시간이 완전 소장 검사에 대한 유의한 인자이며, 적절한 정결에 의한 좋은 영상의 획득이 양성 진단에 대한 유의한 인자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Medicine >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 1. Journal Articles
![qrcode](https://api.qrserver.com/v1/create-qr-code/?size=55x55&data=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13981)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